반응형

에이프로, 어떤 회사인가요?

에이프로는 2차 전지 성장세의 직접적인 수혜를 보고 있는 기업인데요, 2차전지용 배터리 제조 장비를 세계에 공급하는 업체입니다.

 

2000년 6월 27일 설립하여 전력변환장치(SMPS) 및 인버터 기술을 바탕으로리튬이온 2차전지 생산공정 중 후공정 관련 장비인 활성화(Formation), 테스트장비(Cycler)장비를 주력으로 제품 개발 및 생산을 실시하고 있으며,
주요 고객은 LG화학 등 리튬이온 2차전지 제조업체들이며 에이프로의 설비를 통해 최종적으로 전기차, 휴대폰 등의 배터리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전력 변환과 제어 기술을 기반으로 전기자동차, e-Mobility 등 배터리 적용분야에 필요한 통합 솔루션을 제공하는 공급자이며, 전력변환의 High-tech 기술, User-Friendly 설계, 생산 Know-how, 사후 관리를 통합 시스템으로 관리하는 기업입니다.

 

글로벌 배터리 산업, 좀 더 자세히 알아볼까요?

글로벌 배터리 시장은 전기차 시장이 크게 성장함에 따라 동반 성장하는 추세인데요, 기존 전기차는 환경문제와 중국의 강력한 지원으로 성장한 이래 전지 가격이 낮아지고 주행거리가 늘어나면서 내연기관자동차와 경쟁이 가능한 단계로 접어드는 시점이 올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특히, 2020년 발효 예정인 파리기후협약에 따라 각국의 CO2 배출에 대한 강력한 규제도 고성장의 안전판으로 작용하면서 이러한 성장추세는 지속적으로 증가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글로벌 배터리 시장 규모는 IT 등 소형전지를 포함한 기준으로 2018년 220억 달러에서 2025년 1,200억 달러로 5배 이상 확대될 전망입니다. 특히, 중대형 전지인 전기차용과 ESS를 중심으로 매년 급성장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리튬과 코발트는 단기 가격 급등과 원료 부족을 겪고 있으며, 니켈, 망간, 흑연 등 원료시장 또한 규모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글로벌 배터리 시장은 전기차 및 ESS와 동반 성장하는 특성을 보입니다.

대형 전지의 ESS 에너지저장시스템은 신재생에너지나 기존 에너지를 대용량으로 저장하는 전지 장치로서, 최근 선진국을 중심으로 에너지 효율을 개선시키기 위해 ESS를 적극 지원하고 있습니다. 동시에 2020년까지 유럽과 미국의 연비 규제 강화로 인해 전기차 시장은 꾸준히 성장할 전망이기 때문에 전기차 분야는 2차전지 산업의 가장 강력한 수요처로서 안정적인 성장의 발판을 마련할 것입니다.

 

에이프로, 앞으로 어떤 사업이 진행될까요?

현재 리튬이온 2차전지 활성화 장비 사업 이외, 에이프로는 현재 차세대 GaN 전력반도체 개발 및 사업화를 추진하고자 연구개발 중에 있습니다.

차세대 전력반도체라 불리우는 GaN 전력반도체는 고유의 재료적 우수한 특성으로 인하여 낮은 Ron 저항과 높은 동작 주파수 및 높은 항복전압의 동작이 가능합니다. 이러한 특성은 스위칭 소자의 동작 시 발생되는 전력손실을 줄여주며 전력반도체 디스크리트(discrete) 소자의 크기를 줄여주는 핵심 성능 지수입니다.
차세대 GaN 전력반도체가 2차전지 충방전기의 스위칭 전원모듈에 적용될 경우, 스위칭 주파수가 높아져서 설계가 단순해지고 전력전자 부품의 크기도 소형화되기 때문에 시스템 비용을 낮추는 효과가 발생합니다.

따라서, 앞으로 충전용 배터리 제조의 고질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서 차별화된 2차전지 활성화 장비의 경쟁력을 갖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에이프로, 상장 후의 주가를 알아볼까요?

 

상장하자마자, 상한가를 기록한 에이프로인데요,
앞으로 2차 전지 시장의 성장에 따라 함께 주가가 움직일지 지켜봐야겠습니다.

 

관련기사

http://www.gg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783559

 

[특징주] 에이프로, 상장 첫 날 상한가 갈까? - 금강일보

[주식] 에이프로 신규상장 SK바이오팜처럼 상한가 올라갈 수 있을까 귀추 주목 에이프로가 16일 신규상장한다고 전해 주목받고 있으며 오늘 16일 투자자들이 몰릴 것으로 예상된다....

www.ggilbo.com

 

For foreigner

Apro, what is it like?
Apro is a company that is directly benefiting from the growth of secondary batteries, and is a company that supplies battery manufacturing equipment for secondary batteries to the world.

Established on June 27, 2000, based on power conversion device (SMPS) and inverter technology, product development and development are mainly focused on post-process equipment (Formation) and test equipment (Cycler) equipment during the production process of lithium ion secondary batteries. Production,
The main customers ar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manufacturers such as LG Chem, and finally produce batteries for electric vehicles and mobile phones through Apro's facilities.

Based on power conversion and control technology, it is a provider that provides integrated solutions for battery applications such as electric vehicles and e-mobility. It integrates high-tech technology of power conversion, user-friendly design, production know-how, and post-management. It is a company managed by the system.

 

Global Battery Industry, Let's Learn More
The global battery market tends to grow along with the growth of the electric vehicle market. Since the existing electric vehicle has grown due to environmental problems and strong support from China, the battery price has decreased and the mileage has increased to enter the stage where it can compete with internal combustion engine vehicles. The time is expected to come. In particular, in accordance with the Paris Climate Agreement, which is expected to enter into force in 2020, strong regulation of CO2 emissions in each country also serves as a safeguard for high growth, and this growth trend is expected to continue to increase.

The size of the global battery market is expected to increase more than 5 times from $22 billion in 2018 to $120 billion in 2025 on the basis of small batteries such as IT. In particular, it is expected to grow rapidly every year centering on electric vehicles and ESS, which are mid-to-large-sized batteries. As a result, lithium and cobalt are experiencing short-term price spikes and lack of raw materials, and the market for raw materials such as nickel, manganese, and graphite is also expanding. The global battery market is growing along with electric vehicles and ESS.

The ESS energy storage system for large batteries is a battery device that stores new and renewable energy or existing energy in a large capacity. Recently, ESS has been actively supported to improve energy efficiency, especially in developed countries. At the same time, the electric vehicle market is expected to grow steadily due to the strengthening of fuel economy regulations in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by 2020, so the electric vehicle sector will provide the foundation for stable growth as the strongest demand for the secondary battery industry.

 

Apro, what kind of business will proceed in the future?
In addition to th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ctivation equipment business, Apro is currently conducting research and development to promote the development and commercialization of next-generation GaN power semiconductors.

GaN power semiconductors, which are called next-generation power semiconductors, can operate with low Ron resistance, high operating frequency, and high breakdown voltage due to their unique material properties. This characteristic is a key performance index that reduces the power loss generated during operation of the switching device and reduces the size of the power semiconductor discrete device.
When a next-generation GaN power semiconductor is applied to a switching power supply module of a secondary battery charging/discharging device, the switching frequency is increased, thus simplifying the design and miniaturizing the size of the power electronic component, thereby reducing the system cost.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we will be able to solve the chronic problem of manufacturing rechargeable batteries and thus have the competitiveness of differentiated secondary battery activation equipment.

 

Apro, shall we look at the stock price after listing?

As soon as it's listed, it's an apro that records the upper limit.
We need to see if the stock price will move along with the growth of the secondary battery market in the future.

반응형
Posted by Ernest JK
,
반응형

화이자 백신, 과연 성공할 수 있을까요?

우선, 화이자/바이오엔테크는 최근 24명의 건강한 지원자들을 대상으로 백신 'BNT162b1'을 약 2회 투여한 후 28일이 지나자 감염자에게서 흔히 볼 수 있는 것보다 더 높은 수준의 항체가 생성됐다고 발표한 상태인데요, NT162b1은 미국과 독일에서 임상시험 상태라고 합니다.

 

이 덕분에 FDA 패스트 트랙이 승인되었는데요, 주가 역시 이를 반영하듯 큰 폭으로 상승하였습니다.
(화이자 주가는 4%가량, 바이오엔테크 주가는 10.5% 이상 급등)

또한, 화이자는 현재 진행 중인 백신에 대한 연구개발이 성공해 당국의 승인을 받으면 올해 말까지 1억회 복용분을 제조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그리고 2021년 말까지는 12억회 복용분을 제조할 수 있을 전망이라고 덧붙였습니다.

 

그 덕분일까요?

화이자와 독일 바이오엔테크가 공동 개발한 코로나19 실험용 백신 2종이 미 FDA로부터 패스트트랙 지정을 받았다는 소식에 국내 제약바이오 관련주들도 관심을 받고 있는데요, 
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 그리고 최근 SK바이오팜 상장 이슈와 맞물려 동학개미운동을 통한 ‘묻지마 투기성’ 자금이 바이오 종목에 쏠리면서 제약바이오주의 PER는 더 치솟고 있습니다.

바이오젠, 리제네론, 길리어드 등 미국의 대표 제약·바이오기업 PER은 한국 보다 훨씬 낮은데요, 뉴욕증시에서 모더나는 코로나19 백신 임상으로 최근 주가가 크게 오른 상태입니다.

 

국내 증시 화이자 관련주는 무엇이 있는지 알아 봅시다.

사실 국내에는 화이자 관련주는 정확하게 100% 일치하는 것은 없지만 코로나백신과 관련된 주식들이 관심받고 있는데요,

신풍제약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경증 또는 중등 코로나19 환자를 대상으로 피라맥스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비교 평가하기 위해 다기관, 무작위배정, 이중맹검으로 임상2상 시험을 허가받은 바 있는데요, 특히 최근 임상 2상을 실시할 국내 병원이 4개에서 9개 병원으로 확대된다는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녹십자
코로나19 혈장치료제 임상 개시를 앞두고 있는데요, 질병관리본부의 코로나19 혈장치료제 개발을 위한 연구용역 과제 일환으로 개발 중인 코로나19 혈장치료제 'GC5131A'가 임상1상 면제를 받고, 이달 내로 임상2상을 시작할 예정인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시노펙스
나노기술 소재부품 전문기업으로 FPCB사업, 멤브레인 필터 및 수처리사업을 영위하고 있는데요, 특히 혈장분리용 멤브레인 제품을 개발한 바 있어 혈장치료 관련주로 분류됩니다.

 

 

앞으로, 화이자 백신, 그리고 관련 주의 동향을 지켜 보아야겠습니다.

 

관련기사

https://news.g-enews.com/ko-kr/news/article/news_all/202007140440319384a01bf698f_1/article.html?md=20200714045448_R

 

For foreigners

Pfizer vaccine, will it succeed?

First of all, Pfizer/Biotech recently announced that more than 24 days after the vaccine'BNT162b1' was administered to 24 healthy volunteers, antibodies produced higher levels than those commonly seen in infected patients. Indeed, NT162b1 is said to be in clinical trials in the United States and Germany.

Thanks to this, the FDA Fast Track has been approved, and the share price has risen significantly as reflected.
(Pfizer's share price surged about 4%, and Bioentech's share price surged more than 10.5%)

In addition, Pfizer said that it expects to manufacture 100 million doses by the end of this year if it is approved by the authorities as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he vaccine is currently underway. He added that by the end of 2021, 1.2 billion doses could be manufactured.

Is that thanks?

In the news that two types of Corona19 experimental vaccines jointly developed by Pfizer and Germany Bioentech have been designated as fast tracks by the US FDA, domestic pharmaceutical bio-related stocks are also attracting attention.
The pharmacy's PER is skyrocketing as the “Don't Ask” speculative funds through the Donghak Ant Movement are focused on bio-related events, in conjunction with the development of Corona 19 treatments and vaccines and the recent SK Biofarm listing issues.

America's leading pharmaceutical and bio companies, such as Biogen, Regeneron, and Gilead, have a much lower PER than Korea.

반응형
Posted by Ernest JK
,
반응형

디지털 뉴딜(Digital New Deal)에 걸맞는 금융권의 행보가 시작되었습니다.

NH농협은행은 올 상반기에 통과된 전자서명법 전부 개정안에 따라 12월 10일부터 공인인증서의 독점적인 지위가 사라지는 '디지털 뉴딜 정책'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금융-통신사간 연계를 통해 차세대 인증 서비스 시장의 선두주자로서 위치를 굳히겠다는 계획을 갖고 있다고 하는데요,
앞으로 이업종간 제휴 등 새로운 도전을 통해 고객에게 차별화된 가치를 제공하고 다양한 상생 비즈니스 모델을 지속적으로 창출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패스(PASS) 앱은 무엇인가요?

패스(PASS)는 개인정보를 입력할 필요가 없어 앱에서 비밀번호와 지문, 홍채, 얼굴 등의 생체 인식 인증만으로 안전하고 간편하게 본인 인증을 할 수 있는 앱이며,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이동통신사가 공동 추진하는 사설 전자인증 서비스 입니다.

패스를 통한 서비스 사례는 "모바일 운전면허증" 사업이 있습니다.

패스 모바일운전면허 확인서비스’는 사용자 본인 명의의 스마트폰 1대에 1개의 통신사를 통해서만 이용할 수 있습니다. 기본 화면에는 운전면허증 사진, 인증용 QR코드 바코드만 노출됩니다. 생년월일, 주소 등 개인정보의 불필요한 노출을 최소화했습니다. 


인증 화면 위에는 상시 움직이는 애니메이션을 적용해 QR코드 바코드 캡처를 차단했습니다. 또, 일정 시간이 지나면 코드를 초기화해 도용에 따른 위험을 낮췄습니다.

패스(Pass), 과연 안전한가요?

패스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패스’ 서비스와 경찰청 운전면허 시스템을 연동했습니다. 경찰청과 도로교통공단에 등록된 실제 면허증 사진이 앱에 등록되도록 함으로써 타인의 사진이나 정보로 면허증을 위·변조하려는 시도 또한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습니다.

 

과연 어디에서 패스(PASS)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을까요?

패스(PASS)서비스는 보안솔루션 전문업체 아톤에서 제공하고 있는데요, 이 회사는 지난해 10월 코스닥시장에 상장한 새내기 기업입니다. 주요 사업은 핀테크 보안솔루션, 간편인증서비스(PASS), 티머니(T-Money) 솔루션, 스마트금융 등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아톤은 PASS 인증서 서비스 사업자로 현재 LG유플러스의 PASS 앱을 운영하고 있는데요, PASS앱의 사용자 수는 올해 가파른 증가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공인인증서 제도가 폐지되면서 PASS가 대체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는 상황으로써, PASS 인증서 발급 건수는 올해 6월 1500만건(누적기준)을 돌파하였습니다.

 

 

과연, 한국판 뉴딜 정책의 일환으로 비대면 산업 육성과 디지털경제 전환 가속화 등 핀테크 산업을 적극 육성하겠다는 환경아래서, PASS 서비스가 생활속으로 자리잡을 수 있을지 지켜봐야하겠습니다.

 

관련기사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200713000290

 

농협銀, 모바일 인증플랫폼 ‘PASS’ 도입

NH농협은행은 지난 9일 서울 서초구 NH디지털혁신캠퍼스에서 LG유플러스, SKT, 핀테크 보안기업 아톤과 ‘패스(PASS) 앱을 활용한 비대면 서비스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3일 밝혔다.

biz.heraldcorp.com

 

For foreigners

The move of the financial sector has begun to fit into the Digital New Deal.

NH Nonghyup Bank proactively responds to the'Digital New Deal Policy', in which the exclusive status of the accredited certificate disappears from December 10 in accordance with the amendment to all electronic signature laws passed in the first half of this year. It is said to have a plan to strengthen its position as a leader of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o provide differentiated value to customers through new challenges, such as partnerships between different industries, and continuously create various win-win business models.

If so, what is the Pass app?

Pass (PASS) is an app that allows users to safely and easily authenticate themselves with only biometric authentication such as password, fingerprint, iris, and face in the app because it does not need to enter personal information, and moves to SK Telecom, KT, LG U+ It is a private electronic authentication service jointly promoted by telecommunication companies.

An example of service through the pass is the "mobile driver's license" business.

Pass Mobile Driver's License Confirmation Service' can be used only through one carrier for one smartphone in the user's name. Only the driver's license photo and QR code barcode for authentication are exposed on the basic screen. We minimize unnecessary exposure of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date of birth and address.

QR code barcode capture was blocked by applying an animated animation on the authentication screen. In addition,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code was initialized to reduce the risk of theft.

Where do you provide PASS service?

The Pass service is provided by Aton, a security solution specialist, and is a new company listed on the KOSDAQ market in October last year. Major businesses include fintech security solutions, simple authentication services (PASS), T-Money solutions, and smart finance.

In particular, Aton is a PASS certificate service provider and currently operates LG U+'s PASS app, and the number of users of the PASS app is showing a steep increase this year. With the abolition of the accredited certificate system, PASS is gaining attention as an alternative, and the number of PASS certificates issued exceeded 15 million in June this year.


Indeed, as part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New Deal Policy, under the circumstances of actively fostering the fintech industry, such as fostering non-face-to-face industries and accelerating the transition to the digital economy, we need to see if the PASS service can settle into our lives.

 

 

 

반응형
Posted by Ernest JK
,
반응형

코로나19 공기 감염 가능성이라구요?

그동안 증거가 없다고 일관되게 말했던 WHO 가 금일 공기 감염의 가능성을 인정했다고 합니다.


WHO는 특히 혼잡하고 폐쇄돼 있어서 환기가 잘 안 되는 환경에서는 공기 전염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설명했습니다. 다만 해당 증거가 확정적이지는 않기 때문에 증거를 추가로 수집하고 해석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습니다.

 

공기 감염 가능성의 제기한 내용은 무엇이었을까요?

https://www.medrxiv.org/content/10.1101/2020.07.02.20144832v1

 

Exposure assessment for airborne transmission of SARS-CoV-2 via breathing, speaking, coughing and sneezing

Background Evidence for indoor airborne transmission of SARS-CoV-2 is accumulating. If SARS-CoV-2 also spreads via aerosols, this has implications for measures taken to limit transmission.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ssess exposure to airborne

www.medrxiv.org

위 발표된 내용에 따르면, 환기가되지 않는 실내 환경에서 호흡, 말하기, 기침 및 재채기 중에 생성 된 에어로졸을 통해 SARS-CoV-2에 노출 될 수 있다고 하였습니다.
해당 내용의 근거가 좀더 발견되었고, WHO에서 이에 대한 가능성을 고려하고 있다고 볼 수 있겠네요.

 

이 와중에 미국이 WHO 탈퇴를 선언했습니다.

외신은 유엔 사무총장에게 미국의 WHO 탈퇴서가 제출됐다고 전했고, 이후 탈퇴 절차를 거쳐 탈퇴가 2021년에 최종 결정될 것이라고 합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동안 중국에서 코로나19가 발병한 이후 WHO가 중국에 편향된 태도를 보이고 늑장 대응을 했다며 자금 지원을 보류하는 등 WHO 개혁을 요구했구요, 또 지난 5월 18일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WHO 사무총장에게 보낸 서한을 공개하고 30일 이내에 실질적 개선을 이뤄내지 않으면 일시적 지원 중단을 영구적 중단으로 전환하고 회원국 지위 유지도 다시 생각하겠다고 압박했었죠.

이후 5월 29일에는 기자회견을 열어 "미국이 (WHO에) 1년에 4억5천만 달러를 내는데 중국은 4천만 달러밖에 내지 않으면서 WHO를 완전히 통제하고 있다"고 비난하며 WHO와 모든 관계를 끊겠다고 선언하기도 하였습니다.
결국 실행에 옮겼네요.

 

전세계간의 전염병 확산 방지 및 백신 개발에 공조가 절실한 지금, 점점 세계는 단절되어 가고 있는 상황입니다.

 

관련기사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4&oid=374&aid=0000215459

 

For foreigners

Corona19 Air infection?

WHO, who has consistently said that there is no evidence, has acknowledged the possibility of air infections today.
The WHO explained that the possibility of airborne transmission cannot be ruled out, especially in congested and closed environments. However, since the evidence is not conclusive, it is necessary to collect and interpret additional evidence.

What was the possibility of air infection?

According to the above announcement, it can be exposed to SARS-CoV-2 through aerosols generated during breathing, speaking, coughing and sneezing in a non-ventilated indoor environment.
More evidence has been found, and the WHO is considering the possibility.



In the meantime, the United States has declared the WHO withdrawal.

The foreign news agency told the United Nations Secretary-General that the WHO withdrawal from the United States had been filed, and that the withdrawal process would be finalized in 2021.
President Trump has called for reform of the WHO, including pending the funding, saying that the WHO has been biased and responded procrastinatingly to China since the outbreak of Corona 19 in China. When the letter to the secretary-general of WHO was released to the public, and if no substantial improvement was made within 30 days, he would press temporary suspension of support to permanent suspension and reconsider maintaining his membership status.

Then, on May 29, a press conference was held, saying, "The United States (to WHO) pays $450 million a year, but China has full control over WHO, paying only $40 million." He even declared that he would quit.
Eventually it was put into action.



Nowadays, the world is becoming more and more disconnected, since it is urgently needed to prevent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and develop vaccines around the world.

반응형
Posted by Ernest JK
,
반응형

테슬라, 하루 아침에 14% 폭등했습니다.

전기 자동차 업체 테슬라가 첫 번째 전기차인 '로드스터' 를 2008년 출시한 이후, 시가총액 1위의 자동차 업체가 된 기간은 불과 10여년인데요, 최근 기존의 시가총액 1위였던 일본 도요타를 제쳤습니다. 시장은 자동차 산업이 기존 내연기관 중심에서 전기차로 이동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고 보여지네요.


이렇듯 2019년도 연 30만대밖에 판매하지 못한 미국 전기차회사 테슬라가 시가총액 약 214조원(1781억달러)으로 전 세계 자동차 회사 중 가장 높은 가치를 인정받는 건 테슬라가 친환경차 선도 회사이기 때문이라고 보여지는데요, 이젠 친환경차만이 생존 가능한 시대가 성큼 다가왔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더불어, 아직 단 한 대도 생산하지 않은 수소트럭 회사 니콜라 시총이 300억달러를 넘어서며 포드의 시총을 넘어선 것 역시 같은 맥락으로 보여지네요.

 

각 국의 친환경 관련 규제 상황을 알아볼까요?

우선, 유럽의 경우, 유럽 각국의 친환경차 전환 의지는 확고해보입니다.
영국은 2035년부터, 프랑스 역시 2040년부터는 내연기관차를 팔지 않겠다고 선언했는데요, 이는 자동차의 수명이 통상 12~15년이기 때문에 2050년 탄소 순배출량을 제로로 만들겠다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선 이때부터 내연기관차 판매를 중단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미국 역시, 오바마 정부와 캘리포니아 주의 강력한 지원이 2010년 부터 이루어졌으며, 현재 트럼프 정부가 연비규제를 아예 없애버리는 이른바 ‘트럼프 룰’을 발표하며 친환경차로의 전환이 주춤한 것처럼 보이지만 실질적으론 계속 친환경차 시장으로 나아가고 있다고합니다. 미 정부의 정책과는 무관하게 캘리포니아 중심으로 12개 주가 친환경차 진영을 형성하고 있고 23개주가 여기에 동참하려는 중이며 올 연말 대선과 상원의원 선거 결과와 무관하게 결국은 친환경차 진영이 이길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입니다.

중국 또한, 미국 캘리포니아의 정책을 벤치마킹 하여 정국 정부의 친환경차 정책이 보조금 지원에서 경쟁력 확보로 옮겨가면서 우수 전기차 업체는 계속 늘어나는 중입니다.

 

우리나라의 전기차 관련 산업, 어떻게 될까요?

우리나라는 현재, 전기차에 공급되는 배터리에 강점을 지니고 있는데요, 국내 배터리 기업들의 기술력과 생산 능력이 전 세계 유일무이한 수준인 만큼 4대 그룹이 뭉친다면 전통 내연기관차들을 향후 3년 내 제치고 글로벌 최고 수준의 모빌리티 강국으로 올라설 것이라 예상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정책도 물론 뒷받침 되어야 하겠지요. 전기차 시장이 앞으로 어떻게 될지 지켜보아야 겠습니다.

 

관련기사

https://www.fnnews.com/news/202007070750363243

 

For foreigners

Tesla, skyrocketed 14% in the morning.

Since Tesla's first electric vehicle, the Roadster, was launched in 2008, it has only been around 10 years since becoming the No. 1 automaker in the market cap, recently overtaking Toyota, Japan, which was the No. 1 market cap. The market seems to believe that the automobile industry is moving from an exis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 to an electric vehicle.

As such, Tesla, the US electric car company that sold only 300,000 units in 2019, is recognized as the highest value among automobile companies around the world with a market capitalization of about 214 trillion won ($1.81 billion). It can be said that the era in which only eco-friendly cars can survive is approaching.

In addition, it seems that the hydrogen truck company Nikola, which has not yet produced one, has surpassed Ford's market by over $30 billion.

Shall we look at the environmental regulations of each country?

First of all, in Europe, the willingness to switch to eco-friendly cars in each European country seems solid.
The United Kingdom has declared that it will not sell its internal combustion engines from 2035 and France from 2040, which means that the life of the vehicle is usually 12 to 15 years, so to achieve the goal of zeroing the net carbon emissions in 2050, the internal combustion locomotive will start from this point. Is that we have to stop selling.

In the US, the Obama administration and California's strong support has been in effect since 2010, and the Trump government announced the so-called'Trump Rule', which has completely eliminated fuel economy regulations. It is said to be moving forward. Regardless of U.S. government policy, 12 states are forming green car camps in California, and 23 states are trying to join them, and regardless of the results of the presidential and senatorial elections this year, the green car camp is expected to eventually win. Situation.

 

China is also increasing the number of outstanding electric car companies by benchmarking the policies of California, the United States, and the government's government's eco-friendly car policy shifts from subsidy support to competitiveness.



What will happen to Korea's electric vehicle-related industries?

Korea currently has strengths in the batteries supplied to electric vehicles. As the technology and production capacity of domestic battery companies is the world's only level, if the four groups unite, they will overcome traditional internal combustion locomotives within the next three years and become the world's best. You can expect to climb into a mobility powerhouse.
Related policies should be supported, of course. We need to see what the electric vehicle market will look like in the future.

 

 

 

반응형
Posted by Ernest JK
,
반응형

신도기연, 무슨 회사인지 알아볼까요?

1989년 8월 박웅기 대표이사는 당시 국내 디스플레이 장비업계가 해외 업체 대비 경쟁력이 월등히 열세인 상황에서 해외, 특히 일본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던 디스플레이 장비(FPD, Flat Panel Display)의 국산화를 선도하겠다는 신념을 가지고 ㈜신도기연의 모태인 신도기연을 창업(2000년 8월 법인 전환)하였으며, 디스플레이 공정 기술을 독자적으로 연구, 개발하며 사업 기회를 모색해왔습니다.


1990년대말 개발한 탱크 방식 탈포기 등 LCD 공정 장비를 삼성전자에 납품하면서 본격적으로 디스플레이 장비 산업에 참여하게 되었으며, 매엽식 탈포기(STA)의 개발 및 수출을 통한 해외진출로 사업 기반을 마련하였습니다.
그리고 2004년 탈포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혁신적으로 줄여줄 수 있는 (30분~1시간 → 1분~5분) In-Line형 탈포기를 세계 최초로 개발하여 국내외에 판매함으로써 기술력을 인정받았고, 2008년 진공 합착기(Vacuum Laminator)의 개발로 평면 LCD 디스플레이, 곡면(3D) OLED 디스플레이 등 점점 다양해지는 고객사의 니즈에 부응하며 성장을 거듭해 왔습니다.
또한, 2010년대 중반 Flexible OLED 시장이 태동하는 시기에, 당사는 디스플레이 패널 가장자리에 굴곡이 있는 '엣지형' 디스플레이 패널 합착을 위한 곡면 진공 합착기(3D Vacuum Laminator)를 2015년에 세계 최초로 개발하여 현재까지 당사의 주력 제품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향후에도 디스플레이 시장은 Flexible 형태에서 더욱 나아가 Foldable, Bendable 등 보다 다양한 형태로 변화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적용 어플리케이션 또한 모바일 부문 이외에 차량, TV 등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국내 1세대 디스플레이 장비 업체로서, 지난 30년간 디스플레이 업계를 선도적으로 이끌었던 경험 및 노하우를 바탕으로 급변하는 시장 환경 및 고객사의 요구에 긴밀하게 대응해 나갈 계획입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비 사업 뿐만 아니라 수소 연료전지 장비 및 진공 유리 장비 등 신사업 부문을 보다 확대하여 매출원 다각화 및 지속 가능한 성장 모델을 구축해 나갈 예정입니다.

 

신도기연, 어떤 경쟁력을 갖고 있을까요?

디스플레이 시장의 빠른 변화로 인해 LCD 보다 OLED에 대한 고객의 수요가 많아지고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업체 및 시장의 수요는 Rigid OLED 보다는 Flexible OLED를 이용한 곡면(Curved, 3D) 디스플레이를 더 선호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이에 따라 기존의 시장과는 달리 곡면 디스플레이 관련 장비 양산 경험과 노하우를 가장 중요시 여기고 있습니다.

신도기연은 2013년부터 곡면 디스플레이 합착기 개발을 시작하여 2015년 삼성 갤럭시 6 엣지 모델부터 현재의 폴더블 디스플레이까지 계속적으로 곡면 합착기(3D Laminator) 양산 장비를 납품하여 왔습니다.

중국의 4대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사인 BOE, Tianma, Visionox, CSOT 모두에 당사의 곡면 합착기를 납품하는 등 당사의 제품 기술 경쟁력이 인정받고 있는 상황입니다.

당사의 핵심 기술력은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으며, 1) 모든 면적을 고르게 부착할 수 있는 다이아프램(Diaphram) 부착 방식과 2) 모든 곡면에 고르게 부착 압력을 전달할 수 있는 실리콘 패드(Silicon Jig) 기술이 있습니다.

먼저, 다이아프램(Diaphram, 탄성이 있는 얇은 형태의 간막이 판) 부착 방식은 당사의 고유 기술로서 합착시키고자 하는 제품의 모든 면적에 동일한 압력이 고르게 전달하게 할 수 있는 기술이며, 기포 및 크랙(Crack) 발생에 따른 불량을 방지하고 수율이 아주 높은 특징이 있습니다. 타사에서는 모터(Motor)와 실린더(Cylinder)의 힘으로만 부착함에 따라 모든 면적이 고르게 힘이 전달되지 않는 단점이 있는 반면에, 당사는 모터(Motor), 실린더(Cylinder), 다이아프램(Diaphram)을 모두 사용함에 따라 압력에 취약한 Flexible OLED 디스플레이 패널 합착에 매우 적합한 기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두 번째로 실리콘 패드(Silicon Jig) 기술입니다. Flexible OLED의 경우, 강한 압력으로 부착되면 패널 내부에 크랙(Crack)이 발생하고 낮은 압력으로 부착되면 기포(Bubble)가 발생하는 등 부착 압력에 따라 매우 민감하게 불량 요소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특히, 기존의 곡면 90도 이하 제품 보다 90도 이상이 넘어가는 제품은 더욱 더 압력에 민감하므로 기술력과 오랜 경험, 노하우가 매우 중요시되는 공정 기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점차적으로 곡면(3D) 디스플레이 시장의 고객 요구 사항이 증대되면서, 곡면의 곡률이 기존 최대 60도~80도에서 현재는 90도~160도의 고난이도 제품 양산이 준비 중인 상황입니다.

주요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사들은 당사의 기술력을 높이 평가하여 Flexible 디스플레이 제조와 관련하여 당사와 선행 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며, 당사는 향후 더욱 폭발적으로 고성장이 예상되는 Flexible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당사만이 보유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후발 주자들과의 기술 장벽을 구축하여 시장을 주도해 나갈 계획이라고 합니다.

 

신도기연, 중장기 전략을 알아볼까요?

향후 중장기적으로 수소 연료전지차 장비 시장 및 진공유리 장비 시장으로도 목표 시장을 확대할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기존 보유하고 있는 합착 및 탈포 핵심 기술을 바탕으로 수소 연료전지차의 핵심 부품인 수소 연료전지 막전극접합체(MEA) 및 진공유리 시장에서 신규 성장 동력원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신도기연, OLED와 수소 연료 전지 사업에서 과연 두각을 보일지 지켜봐야겠습니다.

 

신도기연

 

관련기사

http://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007060072&t=NN

 

특징주 신도기연 코스닥 상장 첫날 급락공모가는 상회

신도기연이 코스닥 상장 첫날 급락세다. 6일 오전 9시15분 현재 시초가(3만2천원) 대비 20.47%(6,5500원) 내린 2만5,450원에 거래 중이다. 이는 공모가(1만6천원) 대비해서는 9,450원 가량 높은 수준이다. �

www.wowtv.co.kr

 

 

For foreigners

Shindo Giyeon, shall we find out what company it is?

In August 1989, CEO Woong-Ki Park believed in leading the localization of display equipment (FPD, Flat Panel Display), which was entirely dependent on overseas, especially when the domestic display equipment industry was inferior to overseas companies. Founded Shindo Giyeon, the mother of Shindo Giyeon Co., Ltd. (incorporated in August 2000), has independently researched and developed display process technology and explored business opportunities.
By supplying LCD process equipment such as the tank-type defoaming machine developed in the late 1990s to Samsung Electronics, we participated in the display equipment industry in earnest, and laid the foundation for business by developing and exporting sheet-type defoaming (STA) overseas. .
And in 2004, it was recognized for its technological power by developing and selling the world's first in-line defoaming machine that can innovatively reduce the time required for the defoaming process (30 minutes to 1 hour → 1 minute to 5 minutes), 2008 With the development of Vacuum Laminator in year, we have continued to grow in response to the growing needs of our customers, including flat LCD displays and curved (3D) OLED displays.
In addition, in the period of the flexible OLED market in the mid-2010s, we developed the world's first 3D Vacuum Laminator for bonding'edge' display panels with curved edges at the edge of the display panel. Until now, it has become our flagship product.
In the future, the display market is expected to change from a flexible form to a more diverse form, such as foldable and bendable, and it is expected that application applications will also expand to vehicles and TVs in addition to the mobile sector. As a first-generation display equipment company in Korea, we plan to closely respond to rapidly changing market environments and customer needs based on our experience and know-how that have led the display industry for the past 30 years. In addition, we plan to expand our new business divisions, such as hydrogen fuel cell equipment and vacuum glass equipment, as well as display equipment business, to diversify sales sources and build sustainable growth models.

 

Shindo Giyeon, what competitiveness do you have?

Due to the rapid change of the display market, the demand for OLED is higher than that of LCD, and the demand of display panel manufacturers and markets is favoring curved (3D) displays using flexible OLED rather than rigid OLED. Therefore, unlike the existing market, we value the experience and know-how of mass-producing equipment related to curved displays.

Shindo Kiyeon started developing curved display coalescence machines in 2013 and has been supplying equipment for mass production of 3D laminators from Samsung Galaxy 6 edge models in 2015 to the present foldable display.

Our product technology competitiveness is recognized by supplying our curved coalescence machines to all four major display panel manufacturers in China, BOE, Tianma, Visionox, and CSOT.

Our core technology can be broadly classified into two types: 1) Diaphram attachment method that can be evenly attached to all areas, and 2) Silicone pad (Silicon Jig) that can deliver attachment pressure evenly to all curved surfaces. There is technology.

First, diaphram (elastic thin-formed diaphragm plate) attachment method is our unique technology that enables the same pressure to be evenly transmitted to all areas of the product to be bonded, and bubbles and cracks ) It prevents defects caused by occurrence and has a very high yield. In other companies,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power is not evenly transmitted over all areas as it is attached only by the power of the motor and cylinder, whereas our company has motors, cylinders, and diaphrams. It is a very suitable technology for cementing flexible OLED display panels that are vulnerable to pressure as all of them are used.

The second is silicon pad (Silicon Jig) technology. In the case of flexible OLED,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a defective element is generated very sensitively depending on the attachment pressure, such as cracking inside the panel when attached under strong pressure and bubbles when attached under low pressure. In particular, products that are more than 90 degrees higher than the existing curved products with a temperature of 90 degrees or more are more sensitive to pressure, so it can be said to be a process technology where technology, long experience and know-how are very important.

As the customer requirements of the curved (3D) display market are gradually increasing, the curvature of curved surfaces is currently being prepared for mass production of high-degree products ranging from 60 to 80 degrees up to 90 degrees to 160 degrees.

Major display panel manufacturers highly appreciate our technology and are conducting advanced development with us in connection with flexible display manufacturing, and we are developing lately based on our own technology in the flexible display market, which is expected to grow more explosively in the future. It is said that it plans to lead the market by establishing technological barriers with runners.

 

Do you want to learn Shindo Giyeon, mid-long term strategy?

We plan to expand the target market to the hydrogen fuel cell vehicle equipment market and vacuum glass equipment market in the mid to long term. Based on the existing core technologies of bonding and defoaming, it is said that it plans to provide a new growth engine in the hydrogen fuel cell membrane electrode assembly (MEA) and vacuum glass market, which are key components of hydrogen fuel cell vehicles.



Shindo Kiyeon and OLED and hydrogen fuel cell business will see whether they will stand out.

반응형
Posted by Ernest JK
,
반응형

흑사병(페스트) 이 무엇인지 알아볼까요?

흑사병(페스트)는 콜레라, 황열과 함께 세계보건기구에서 집중 주시하는 검역전염병이라고 하는데요, 흑사병(페스트)는 공기 전염, 접촉 전염, 또는 오염된 음식물을 통해 전염이 가능다고 합니다.
흑사병(페스트)의 증상은 감염자마다 최초 감염 부위 근처에 집중되는데, 이에 따라 림프절에 감염되는 선페스트, 혈관에 감염되는 패혈성 페스트, 허파에 감염되는 폐페스트 등으로 분류됩니다. 다행히 조기에 발견되면 치료가 가능한 편이구요.
흑사병(페스트)는 오늘날에도 세계 각지의 풍토병으로 위세를 떨치고 있습니다.

흑사병(페스트) 는 주로 어떻게 감염이 될까요?

주로 아래와 같이 접촉/전염에 의하여 감염된다고 하니, 조심해야겠습니다.

비말 접촉: 감염된 사람의 기침 또는 재채기
직접 접촉: 감염된 사람을 만지는 경우. 성관계를 포함함.
간접 접촉: 오염된 흙이나 오염된 표면을 만지는 경우.
공기 전염: 병원체 미생물이 공기 중에 오랫동안 살아남아 있는 경우.
경구 전염: 오염된 음식물 또는 물을 섭취한 경우
매개 전염: 매개체 곤충(벼룩 등)이나 다른 동물에 의해 옮은 경우.

이렇듯 흑사병(페스트)관련주를 주시해야 할 것 같습니다.

 

흑사병(페스트) 관련주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우정바이오
1989년에 설립된 신약연구 기업으로, 2017년에 코스닥시장에 상장함.
감염관리 전문기업으로 병원 및 연구시설에 감염관리 서비스를 제공중임. 동사의 감염관리 서비스는 ‘설계-시공-장비-유지-예방멸균’의 토탈 솔루션 형태임.
감염관리는 병원의 수술실, 무균실, 중환자실, 연구시설의 실험실, 제약 생산시설 등에 필요하며 메르스 사태 이후 사회적으로 감염관리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며 수요 증가 추세임.


 

 

신풍제약
1962년 6월 5일 의약품 제조를 주목적으로 설립하였으며 1990년 1월 20일에 한국증권거래소에 상장함.
주요 목적사업은 완제의약품 및 원료의약품 등의 제조 및 판매임.
제약업은 정밀화학공업과 생명공학 기술을 토대로 화학물질의 합성과정을 거쳐독특한 물질을 개발하는 산업이며, 화학공학기술, 미생물학, 약학 등 다양한 지식과 기술을 요구하는 지식 집약적 고부부가치 산업임.

 

 

고려제약
의약품제조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주요제품으로는 종합감기약인 하벤 캅셀, 소화기계용제인 란시드캅셀, 판도나정 등이 있음.
제약산업은 정밀화학산업의 일종으로기술 집약도가 높고 신제품 개발 여부에 따라 큰 부가가치를 창출할수 있는 미래 신성장 동력산업임.
Bluetooth형 인슐린 주입 펜 및 CGMS의 의료기기 사업과 병용하여 당뇨치료제 개발을 목표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나, 의료기기 개발 부진 및 지연으로 개발 포기함.



 

이글벳
1970년 10월 5일에 개인기업인 이글케미칼공업사를 설립하였으며, 1983년 12월 6일에 주식회사 이글케미칼 법인으로 전환하였음.
영위하는 사업은 동물약품제조, 판매 등이며 그 외 부동산 임대업과 통신판매업 및 전자상거래 등의 사업을 함께 영위하고 있음.
호주와 동남아 일대에 수출을 시작하여 현재는 아프리카에 이르기까지 해외시장 개척에 총력을 다하고 있으며, 수출 비중이 꾸준히 상승하고 있음.

 

관련기사

https://www.news1.kr/articles/?3986664

 

中 내몽고서 페스트 의심 사례 발견…중국 '발칵'(종합)

사실 앞에 겸손한 민영 종합 뉴스통신사 뉴스1

www.news1.kr

 

For foreigners

Shall we find out what the Black Death (Fest) is?

The Black Death (Fest) is a quarantine epidemic that is closely watched by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along with cholera and yellow fever, and the Black Death (Fest) is said to be transmitted through air, contact, or contaminated food.
Symptoms of the Black Death (Fest) are concentrated in the vicinity of the initial infection site for each infected person, and are classified into a sunfest infected with lymph nodes, a septicfest infected with blood vessels, and a lungfest infected with lungs. Fortunately, treatment is possible if it is detected early.
The Black Death (Fest) continues to dominate the world today as an endemic disease.

 

How is the Black Death (Fest) mainly infected?

It is said that infection is mainly caused by contact/infection as shown below, so be careful.

Splash contact: coughing or sneezing in an infected person
Direct contact: When touching an infected person. Includes sex.
Indirect contact: When touching contaminated soil or contaminated surfaces.
Airborne transmission: When pathogen microorganisms have survived in the air for a long time.
Oral transmission: Contaminated food or water
Mediated transmission: When transmitted by a vectored insect (such as a flea) or other animal.

As such, it seems that we need to keep an eye on the Black Death (fest).

 

 

반응형
Posted by Ernest JK
,
반응형

렘데시비르에 대해 알아볼까요?

렘데시비르(Remdesivir, 개발명 GS-5734)는 특정 뉴클레오티드 유사체 프로드러그로 만들어진 항바이러스제라고 하는데요,


원래는 길리어드 사이언스 사가 에볼라 출혈열과 마버그 바이러스 치료를 위한 약품으로 개발했으나 이후 여러 실험에서 단일 가닥 RNA 바이러스인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후닌바이러스, 라사열바이러스, 헤니파바이러스, 코로나바이러스(MERS 및 SARS 바이러스 포함)의 항바이러스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후속 연구에서는 코로나-19 (COVID-19), 헤니파바이러스 질환을 포함한 다양한 코로나바이러스 계열 바이러스 질환에 치료 효과가 있다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그리고 세계 곳곳의 병원에서 실시한 임상 실험에서 렘데시비르는 코로나19 증상의 지속기간을 15일에서 무려 11일로 단축하였는데요, 미국 국립 알레르기·전염병 연구소(NIAID) 앤서니 파우치 소장은 "렘데시비르가 (코로나19)완치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하는 데 유의미하고 긍정적이며 분명한 효과가 있었음을 보여줬다"고 말했습니다.

 

렘데시비르, 국내 공급은 원활하게 이루어 질까요?

우선 코로나19 확진자 아무나 렘데시비르를 투약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니라고 합니다. 투약대상은 폐렴 소견이 있으면서 산소치료를 해야하는 중증환자로 제한한다고 하네요.
그리고
흉부엑스선(CXR) 또는 컴퓨터 단층촬영(CT) 상 폐렴 소견
산소포화도 94% 이하
에크모(ECMO) 등 산소치료를 시행하는 환자
증상발생 후 10일이 지나지 않은 환자 등 4가지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 한다고 명시하였습니다.

앞으로, 중증코로나19 환자들의 상태가 많이 호전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렘데시비르 관련 종목을 지켜봐야할 것 같습니다.

파미셀
1968년 설립되어 1988년 상장. 줄기세포 치료제 등 의 제조 및 판매, 연구개발 등을 위한 바이오사업과 친환경 난연제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
세계 최초의 줄기세포치료제를 개발한 바이오 제약 전문기업이며 바이오사업부, 바이오케미컬사업부 등 2개의 사업부를 두고 있음.
컨소시엄 구성, 공동 연구 등 대기업과 연계한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신소재 제품 개발을 계속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매출을 계속 발굴 중에 있음.

 

신풍제약
동사는 1962년 6월 5일 의약품 제조를 주목적으로 설립하였으며 1990년 1월 20일에 한국증권거래소에 상장함.
주요 목적사업은 완제의약품 및 원료의약품 등의 제조 및 판매임.
제약업은 정밀화학공업과 생명공학 기술을 토대로 화학물질의 합성과정을 거쳐독특한 물질을 개발하는 산업이며, 화학공학기술, 미생물학, 약학 등 다양한 지식과 기술을 요구하는 지식 집약적 고부부가치 산업임.

 

관련기사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2&oid=081&aid=0003104000

 

‘렘데시비르’ 국내 공급 중증 33명에 우선 투약

가장 유력한 코로나19 치료제 중 하나로 꼽히는 ‘렘데시비르’가 국내에도 공급된다. 1일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렘데시비르 수입자인 길리어드사이언스코리아와 국내 도입 협의�

news.naver.com

 

For foreigners

Should we learn about Remdesibir?

Remdesivir (development name GS-5734) is an antiviral agent made from a specific nucleotide analogue prodrug.



Originally developed by Gilead Sciences as a drug for the treatment of Ebola hemorrhagic fever and Marburg virus, several experiments have since performed single-stranded RNA viruses such as respiratory syncytial virus, funinvirus, Lassa fever virus, Henifa virus, and coronavirus (MERS and SARS). It is known to exert antiviral effect of virus).
Subsequent studies have shown that it has a therapeutic effect on various coronavirus family virus diseases, including corona-19 (COVID-19) and henipavirus disease.
And in clinical trials conducted in hospitals around the world, Remdesivir shortened the duration of Corona 19 symptoms from 15 days to 11 days. Corona19)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and clear effect on reducing the time to cure.”

Lemdesibir, will domestic supply be smooth?

First of all, it is said that not every corona 19 confirmed person can receive Lemdesivir. It is said that the subjects to be administered are limited to severe patients who have pneumonia and need oxygen treatment.
And
Pneumonia on chest X-ray (CXR) or computed tomography (CT)
Oxygen saturation less than 94%
Patients who undergo oxygen therapy, such as ECMO
It is stated that all four conditions must be met, including those who have not passed 10 days after the onset of symptoms.

In the future, I hope the condition of patients with severe corona19 will improve a lot.

반응형
Posted by Ernest JK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