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증시의 주요 지수가 상승하고 있습니다.
미국 대선 당일인 11월 3일, 뉴욕증시 주요 지수가 2%대 상승 마감하였는데요.
미 대선에서 조 바이든 민주당 대선후보의 승리와 민주당이 상하원을 모두 석권할 것이라는 '블루웨이브' 기대감이 증시에 작용한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민주당이 행정부와 의회를 모두 장악하면 코로나19로 인한 경기침체 해소를 위해 초대형 경기부양책을 수월하게 집행할 수 있다고 보는 시각이 우세한 것으로 짐작해볼 수 있겠습니다.
최대 변수는 우편투표, 그리고 상원의원이 될 것입니다.
우편투표의 경우 유효표로 인정해주는 도착 시한, 개표 시작일 등이 주마다 달라 법정 다툼의 소지가 있다고 보는 시각도 존재합니다. 이미 트럼프 대통령은 대선 후 사흘 뒤 도착하는 우편투표를 유효표로 인정하는 경합주 펜실베이니아의 규정과 관련해 불만을 드러내온 것으로 잘 알려져 있죠.
또한, 최악의 시나리오는 바이든 후보의 대통령 당선과 공화당의 상원 수성으로 볼 수 있는데요.
월가의 통념으로는 워싱턴 정가의 교착 상태가 주식시장에 최선이지만, 올해는 코로나19 대유행에 따른 경기침체로 상황이 달라졌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바이든 백악관`과 `공화당 상원`은 추가 경기부양에 희망을 걸고 있는 금융시장에 최악의 결과가 될 수 있다고 NYT는 진단한 상태입니다.
혹시, 트럼프가 재당선될 수도 있을까요?
현재, 사전투표 지지율은 14.4%P로 바이든이 앞서는 것으로 조사되었는데요. 반전될 가능성이 약간 남아있다고 보는 시각도 존재합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재선은 현 상황을 그대로 유지하는 시나리오가 될 것으로 보이는데요. 이 경우 공화당이 상원 다수석을 지키고, 민주당은 하원 우위를 그대로 유지할 가능성이 큽니다. 추가 부양을 둘러싼 현 대치 국면이 그대로 유지돼 근시일 내 대규모 경기부양 패키지가 집행될 수 있다는 기대감이 빠르게 사라질 것으로 보여, 증시에 악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충분하겠네요. 하지만, 바이든 후보와 달리 법인세와 재산세를 올리지 않을 것이 확실시되고,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을 `영구 저금리` 정책에 발맞출 새로운 인물로 교체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마냥 부정적인 시각으로 볼 것도 아닙니다.
미국 대통령 선거, 그 치열했던 승부의 마침표는 어떻게 찍힐 지 지켜봐야겠습니다.
For foreigners,
The leading index of the New York Stock Market is rising.
On November 3, the day of the US presidential election, major indexes of the New York Stock Market ended up 2%.
In the US presidential election, democratic presidential candidate Joe Biden's victory and the'Blue Wave' expectation that the Democratic Party will dominate the Senate and House seems to have played a role in the stock market.
In addition, it can be presumed that the view that if the Democratic Party takes control of both the administration and the parliament, it can easily implement an extra-large stimulus package to relieve the recession caused by Corona 19.
The biggest variables will be vote-by-mail, and the senator.
In the case of mail voting, there is a view that the arrival deadline and the start date of counting, which are recognized as valid votes, vary from state to state and may lead to legal disputes. It is well known that President Trump has already expressed dissatisfaction with the rules of Pennsylvania, a race state state that recognizes votes by mail that arrive three days after the presidential election.
Also, the worst-case scenario can be seen as Biden's presidential election and Republican Senate Suseong.
Wall Street's conventional wisdom is that the stalemate in Washington is best for the stock market, but this year the situation has changed due to the economic downturn caused by the Corona 19 pandemic. Thus, the White House Biden and the Republican Senate could be the worst outcome for financial markets that are hoping for further stimulus, NYT has diagnosed.
Could Trump ever be re-elected?
Currently, the pre-voting approval rate is 14.4%P, with Biden being ahead. There is also a view that there is still some possibility of reversal.
President Trump's re-election seems to be a scenario that maintains the current situation. In this case, the Republican Party is likely to retain the Senate majority, and the Democrats are likely to maintain the House's dominance. As the current confrontation over additional stimulus remains the same, expectations that a large-scale economic stimulus package can be implemented in the near future is expected to disappear quickly, and it is likely to have a negative impact on the stock market. However, unlike Candidate Biden, it is certain that corporate and property taxes will not be raised, and Jerome Powell's chairman of the Federal Reserve System (Fed) can be replaced with a new person who will fit into the ``permanent low interest rate'' policy. It's not even visual.
It remains to be seen how the end of the US presidential election, the fierce game, will be stamped.
'Pick! Topic > 경제 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3/9, 미국 기준금리 빅스텝 가능성, 한국은행 기준금리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0) | 2023.03.09 |
---|---|
23/3/8, 미국 연준의장 제폼 파월의 금리인상 기조 발언 (0) | 2023.03.08 |
Biden leads Trump by 17% feat. 미국 대선 (0) | 2020.10.15 |
Celltrion Healthcare Holdings feat. 셀트리온 합병 (0) | 2020.09.25 |
New 4680 Tabless Cell feat. 테슬라(Tesla) (0) | 2020.09.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