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미약품 신약물질, 좀 더 알아볼께요.

한미약품은 바이오 신약 후보물질 ‘랩스GLP글루카곤 듀얼 아고니스트(코드명: HM12525A·듀얼 아고니스트)’의 개발 및 제조, 상업화 권리를 글로벌 초대형 제약사인 미국 MSD에 이전하기로 계약을 맺었다고 발표했는데요,
MSD는 이번 계약에 따라 한국을 제외한 전 세계에서 ‘LAPSGLP/Glucagon 수용체 듀얼 아고니스트’의 개발 및 제조, 상업화에 대한 독점 권리를 확보했다고 합니다.


듀얼 아고니스트는 비알코올성지방간염(NASH) 치료 후보물질인데요,
인슐린 분비 및 식욕 억제를 돕는 호르몬인 GLP-1과 에너지 대사량을 증가시키는 글루카곤을 동시에 활성화하는 이중 작용 치료제입니다. 한미약품의 독자적인 약효 지속 기반 플랫폼 기술인 랩스커버리가 적용돼 있습니다.

랩스커버리를 잠시 알아볼까요?
랩스커버리는, Long Acting Protein / Peptide Discovery Platform Technology 의 약자입니다.


단백질 의약품의 경우 인체에 투여 되었을 때 반감기가 짧아 자주 투여를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는데,
LAPSCOVERY는 단백질 의약품의 반감기를 늘려주는 혁신적 플랫폼 기술로 투여 횟수를 줄여 환자의 삶의 질을 높이며, 투여량을 감소시킴으로써 부작용은 줄이고 효능은 개선하는 기반 기술이라 할 수 있습니다.

 

MSD가 기술 계약을 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우선, HM12525A는 작년 얀센이 글로벌 임상 2상을 마치고 한미에 권리를 반환한 물질이란 점에서 참석자들의 이목을 끌었던 상황입니다.
특히, 비만∙당뇨 동시치료제로 개발하려던 얀센과는 달리, 한미약품은 이 약을 기존 약물보다 효과가 월등한 이중기전의 first-in-class 비만치료제로 개발하고 있었습니다.

이러한, HM12525A는 세계 최초의 주1회 투여 비만 치료제로, 기존 매일 투여 비만치료제 대비 월등한 체중감소 효과가 글로벌 2상을 통해 입증되었는데요, HM12525A는 리라글루타이드(제품명 삭센다)와의 직접 비교임상에서 두 자릿수대 비율의 체중 감소 효과가 나타났으며, 우수한 혈중 지질농도 및 혈압 감소 효과, 우수한 안전성 프로파일도 확인되었다고 발표된 상황이었습니다.

MSD는 비만 당뇨 등과 같은 계열의 대사질환인 NASH 치료에 듀얼 아고니스트가 효과를 낼 것으로 본 듯합니다.
당뇨 치료 효능은 다소 못 미치지만 비만에는 효과가 탁월하다는 임상 2상 결과를 확인한 후, 전 세계에서 판매 허가를 받은 NASH 치료제는 아직 없기 떄문에 비만과 당뇨를 동시에 조절하는 방식으로 MSD와 함께 NASH 치료 신약을 개발하기로 결정된 것으로 보입니다.

앞으로, 한미약품의 신약이 대사질환인 NASH 치료제로써 등극할 수 있을지 지켜봐야겠습니다.

 

관련기사

https://news.naver.com/main/ranking/read.nhn?mid=etc&sid1=111&rankingType=popular_day&oid=421&aid=0004796221&date=20200805&type=1&rankingSeq=3&rankingSectionId=101

 

얀센이 반환한 한미약품 신약물질, MSD가 1조원에 사들인 이유

(서울=뉴스1) 이영성 기자,김태환 기자 = 한미약품이 지난 4일 다국적제약사 MSD(미국 머크)와 자체 신약물질에 대한 1조원 규모의 기술수출(라이선싱 아웃) 계약을 하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

news.naver.com

 

For foreigners,

Let's find out more about Hanmi Pharm's new drug substance.

Hanmi Pharm announced that it has signed a contract to transfer the right to develop, manufacture, and commercialize the bio-new drug candidate ‘Labs GLP Glucagon Dual Agonist (code name: HM12525A, Dual Agonist)’ to MSD, the world's largest pharmaceutical company.
According to the agreement, MSD has secured exclusive rights to the development, manufacture and commercialization of the “LAPSGLP/Glucagon Receptor Dual Agonist” outside of Korea.
Dual agonists are candidates for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NASH) treatment.
It is a dual action treatment that simultaneously activates GLP-1, a hormone that helps suppress insulin secretion and appetite, and glucagon, which increases energy metabolism. Labscovery, a platform technology based on Hanmi Pharm's unique drug continuity, is applied.

Shall we look at Labs Covery for a moment?
Labs Discovery, short for Long Acting Protein / Peptide Discovery Platform Technology,
Protein drugs have a short half-life when administered to the human body.
LAPSCOVERY is an innovative platform technology that increases the half-life of protein medicines, reducing the number of doses to improve the patient's quality of life, and reducing the dose to reduce side effects and improve efficacy.

 

Why did MSD sign a technology contract?

First of all, the HM12525A attracted the attention of the participants in that Jansen last year completed a global phase 2 clinical trial and returned the right to the United States.
In particular, unlike Jansen, which was trying to develop a treatment for obesity and diabetes simultaneously, Hanmi Pharm was developing this medicine as a first-in-class anti-obesity treatment with a superior mechanism than existing drugs.

As such, HM12525A is the world's first once-a-week anti-obesity treatment, and its superior weight-loss effect has been demonstrated through two global phases compared to conventional daily-administered obesity treatments. It was announced that a double-digit ratio weight loss effect was observed, and excellent blood lipid and blood pressure reduction effects and excellent safety profiles were confirmed.
MSD seems to have a dual agonist that will be effective in treating NASH, a metabolic disease of obesity and diabetes.
After confirming the clinical phase 2 results that the efficacy of diabetes treatment is slightly less than that of obesity, the NASH treatment has not yet been approved for sale in the world. It appears to have been decided to develop a new drug.


In the future, we need to see if Hanmi Pharm's new drug will be able to emerge as a treatment for NASH, a metabolic disease.

반응형
Posted by Ernest JK
,
반응형

천보, 무슨 회사인가요?

전자소재, 이차전지 전해질 등의 개발, 제조 및 판매를 주요사업으로 하고 있는데요,
크게 전자소재(LCD식각액첨가제, OLED소재, 반도체공정 소재 등), 2차전지 소재(전해질, 전해액첨가제), 의약품 소재(의약품중간체), 정밀화학 소재 사업을 하고 있습니다.

 

 

천보의 사업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아볼까요?

1. 전자 소재 
LCD식각액첨가제는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공정 중 식각 공정에 사용되는 액상정밀화학제품으로, 식각 공정 상 속도를 조절하거나 미세 패턴을 구현하는 기능을 하며, 고화질 LCD 패널 제조에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합니다. 아미노테트라졸(ATZ)은 국내시장점유율 1위, 세계시장점유율 1위(95%)를 기록하고 있으며, 차세대 제품인 메틸테트라졸(MTZ)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OLED는 3원색(적색, 녹색, 청색)의 소자를 일정한 간격으로 패널에 수평 배치한 RGB 방식으로, 3원색의 소자가 각기 다른 색을 내면서 하나의 픽셀(점, 화소)을 구성합니다. 당사는 3원색 중 적색(R) 발광재료 등의 중간체 및 완제품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반도체공정소재는 반도체 제조공정에서 초미세 선폭의 패턴을 구현하는데 정확성을 제고하는 역할을 담당(수율 및 품질개선, 생산성 향상, 설비투자 절감 효과)하는 소재로서 국내 시장 점유율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2. 2차전지 소재
전해액은 리튬이온을 이동할 수 있게 하는 매개체로서, 전해액에 첨가제를 투입하여 성능(에너지밀도, 수명, 충ㆍ방전시간) 및 안정성(폭발 방지)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담당하며, 전해질은 용매에 해리되어 이온으로 전류를 흐르게 하는 물질로서, 2차전지의 충·방전 기능을 담당하는 핵심소재입니다.

2013년 2차전지소재 연구개발을 시작하여 SN, DPN 및 AN 등의 다양한 리튬 2차전지 전해액 첨가제를 생산하고 있으며, 2016년 말에 중대형 리튬전지용 전해질인 LiFSI를 세계 최초로 상용화 공장을 가동하였으며, 2018년 3월 차세대 전해질인 LiPO2F2 , LiBOB 공장을 준공하여 가동하고 있습니다. 2019년 3분기에 LiPO2F2 신공장을 준공하였고 2020년 상반기에 LiFSI, LiDFOP 신공장을 준공하여 올해 매출에 크게 기여할 것입니다.


3. 의약품 소재
의약품 중간체는 최종 제품인 의약품원제를 생산하기 위한 중간 단계의 유기화학물로, 당사는 결핵치료제, 당뇨병치료제 등 각종 약품의 중간체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4. 정밀화학 소재
화학 제품을 사용하여 유리의 강도를 높인 강화유리(Chemically strengthened glass)및 타이어 제조에 사용되는 화합물 등과 같이 특수 용도로 사용되는 질산 칼륨(Potassium nitrate)과 질산 리튬(Lithium nitrate) 등 고부가가치의 정밀화학 소재 제품을 생산 공급합니다.

 

천보, 과연 성장 가능성은 얼마나 될까요?

2020년, 2021년 대규모 CAPA 증설 공시로 성장 모멘텀 확보했다고 볼 수있는데요,
잠정 실적 발표와 동시에 대규모 설비 투자 계획을 발표하였습니다. 2023년까지의 대규모 증설이며, 고객사 수요가 확실한 범용 제품인 P(LiPO2F2)는 2019년 360톤 → 2020년 540톤 → 2021년 1,500톤까지 증설 예정이라고 합니다.

현재 2차전지 시장 개화에 따른 전해질 수요 확대로 성장 모멘텀은 확실한 것으로 보여지고, 2020년, 2021년 P제품 매출액은 각각 362억원(+123%), 1,062억원(+193%)으로 고성장이 전망된다고 합니다.

전체 배터리 매출액은 2020년 868억원(+65%), 2021년 1,970억원 (+127%)이 예상되는데요, 2023년까지 2차 증설도 진행될 계획이라고 합니다.
총 투자금액은 1,500억원(1차 300 억원, 2차 1,200억원)이고, 이 중 2차전지(P. F. B. D)는 총 CAPA를 6,000톤까지 추가 확대할 예정이라고 하며, 이는 기존 대비 3배 이상의 증설입니다.

자금 조달은 내부유보 및 창출이익 650억원, 금융권장기차입금 350억원, 유상증자 500억원이라고 하네요.


앞으로, 2차전지 시장과 더불어 천보의 주가가 얼마나 올라갈지 지켜봐야겠습니다.

 

관련기사

https://moneys.mt.co.kr/news/mwView.php?no=2020073109408046571https://moneys.mt.co.kr/news/mwView.php?no=2020073109408046571

 

[특징주] 천보, 설비 투자 계획 발표에 10%↑ - 머니S

천보가 대규모 생산능력 증설 공시에 장 초반 상승세다.31일 천보는 전 거래일보다 10%(1만400원) 상승한 1...

moneys.mt.co.kr

For foreigners

Cheonbo, what company are you?

The main business is the development, manufacture and sales of electronic materials and secondary battery electrolytes.
We are engaged in electronic materials (LCD etching additives, OLED materials, semiconductor process materials, etc.), secondary battery materials (electrolytes, electrolyte additives), pharmaceutical materials (pharmaceutical intermediates), and fine chemical materials.

 

Should we learn more about Cheonbo's business?

1. Electronic material
LCD etchant is a liquid fine chemical product used in the etching process during the display panel manufacturing process. It functions to control the speed during the etching process or to implement a fine pattern, and plays a key role in manufacturing high-definition LCD panels. Aminotetrazole (ATZ) is the No. 1 domestic market share and the No. 1 global market share (95%), and sells the next-generation product, methyltetrazole (MTZ).

OLED is an RGB method in which elements of three primary colors (red, green, and blue) are horizontally arranged on a panel at regular intervals, and elements of three primary colors make up one pixel (dot, pixel) while producing different colors. We produce intermediates and finished products such as red (R) emitting materials among the three primary colors.

The semiconductor process material is a material that plays a role in improving accuracy in realizing ultra-fine line width patterns in the semiconductor manufacturing process (yield and quality improvement, productivity improvement, and facility investment reduction effect) and occupies more than 90% of the domestic market share.

2. Secondary battery material
Electrolyte is a medium that allows lithium ions to move, and by adding additives to the electrolyte, it plays a role to improve performance (energy density, life, charge/discharge time) and stability (explosion prevention). It is a material that flows current through ions, and is a core material that charges and discharges secondary batteries.

In 2013, we started researching and developing secondary battery materials, producing various electrolyte additives for lithium secondary batteries such as SN, DPN, and AN. In late 2016, we launched the world's first commercialization plant for LiFSI, an electrolyte for medium and large-sized lithium batteries, 2018 In March, the next-generation electrolyte LiPO2F2 and LiBOB plants were completed and in operation. The new LiPO2F2 plant was completed in the third quarter of 2019, and the new LiFSI and LiDFOP plants will be completed in the first half of 2020, contributing to this year's sales.


3. Pharmaceutical material
Pharmaceutical intermediates are intermediate organic chemicals to produce the final product, the drug substance. We produce intermediates for various drugs such as tuberculosis treatment and diabetes treatment.

4. Fine chemical material
High value-added fine chemicals such as potassium nitrate and lithium nitrate used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chemically strengthened glass using chemical products and compounds used in tire manufacturing Produce and supply material products.



Cheonbo, how likely is it to grow?

In 2020 and 2021, we can see that we have secured growth momentum through the large-scale CAPA expansion announcement.
At the same time as the provisional results were announced, a large-scale facility investment plan was announced. P(LiPO2F2), a general-purpose product that is expected to be expanded by 2023 and has a strong customer demand, is expected to expand from 360 tons in 2019 to 540 tons in 2020 → 1,500 tons in 2021.

The growth momentum is expected to be evident due to the expansion of demand for electrolytes in response to the blooming of the secondary battery market. To do.

Total battery sales are expected to reach 86.8 billion won (+65%) in 2020 and 197 billion won (+127%) in 2021.
The total investment amount is 150 billion won (primary 30 billion won, secondary 120 billion won), of which the secondary battery (PFB D) is expected to further expand the total CAPA to 6,000 tons, which is more than triple the existing capacity. .

The financing is said to be 65 billion won for internal reservation and generated profit, 35 billion won for long-term borrowings from financial institutions, and 50 billion won for paid-in capital increase.

반응형
Posted by Ernest JK
,
반응형

카카오 게임즈, 한번 알아볼까요?

2013년 8월 22일 ㈜엔진으로 설립하였으며, 2016년 4월 1일 ㈜다음게임을 흡수합병하였는데요, 2016년 7월 1일 사명을 현재의 ㈜카카오게임즈로 변경 하였습니다.

모바일 메신저 '카카오톡'과 포털 'Daum' 서비스를 활용하여 모바일게임과 PC게임의 퍼블리싱 및 채널링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또한 최근 전문 개발 자회사를 설립 및 인수하여 캐주얼에서 하드코어 장르까지 아우르는 개발사로 사업영역을 확장 중에 있는 상황입니다.

 

 

카카오 게임즈, 어떤 사업을 하고 있는지 자세히 볼까요?

우선, 국내 PC게임의 주요 퍼블리싱 타이틀은 배틀로얄 장르인 '배틀그라운드'와 액션 RPG 장르인 '패스 오브 엑자일'이 있습니다. 해외 PC게임은 MMORPG '검은사막'을 북미유럽지역에 서비스하고 있으며 4년간 축적된 운영노하우와 콘텐츠 업데이트 시너지로 신규 유저 유입 등 긍정적인 성과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그리고 자체개발 PC게임으로는 판타지 세계관 기반의 풍성한 콘텐츠를 갖춘 MMORPG '아키에이지'를 국내를 비롯한 북미유럽, 일본, 중국, 러시아 등에서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현재, 하반기에는 ㈜크래프톤이 개발중인 MMORPG '엘리온'이 연내 출시를 위한 최종 준비중이며, 이후 북미유럽 지역 등 글로벌 서비스를 이어 나갈 계획으로 대형 퍼블리셔로서의 입지를 한층 강화하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모바일게임 퍼블리싱은 카카오톡의 소셜 기능을 접목한 캐주얼 게임 등 다양한 장르의 타이틀을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카카오 게임즈, 성장 가능성과 그 상장 가능성을 점쳐봅시다.

카카오 게임즈는 해외 시장에서 캐주얼게임부터 MMORPG까지 다양한 장르의 퍼블리싱 경험을 보유한 역량 있는 게임사로 향후 크래프톤의 신작 MMORPG를 포함한 국내 다양한 장르의 글로벌 퍼블리싱 및 해외 시장에서 개발된 양질의 타이틀을 소싱하여 퍼블리싱 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또한, 다년간 경험을 가진 개발진과 경쟁력 있는 IP를 보유하고 있는 엑스엘게임즈 인수를 비롯해 국내 유망 개발사인 세컨드다이브, 오션드라이브스튜디오 등의 핵심 개발사에 투자하면서 자체 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다양한 장르의 개발력을 확보한 상태라고 하네요.

그리고 Daum의 프론트페이지와 카카오톡 메신져를 활용한 마케팅 편의 제공 및 유저들의 게임 접근 편의성을 제공하는 상황입니다.

마지막으로 모회사인 카카오로부터 '카카오프렌즈 IP'를 게임사업에서 독점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 받았으며 직접 제작, 서비스 및 유일한 퍼블리셔로서 이를 활용하고 있어 경쟁우위를 선점하고 있다 볼 수 있겠습니다.


추가로, VR사업 예정이라고도 하네요.

카카오 게임즈, 앞으로 코스닥 상장 시까지 계속 주목해봐야 하겠습니다.

 

관련기사

http://www.econovill.com/news/articleView.html?idxno=405755

 

카카오게임즈, 코스닥 상장 예심 승인

[이코노믹리뷰=전현수 기자] 카카오게임즈가 기업공개(IPO)에 한 발짝 더 다가섰다.카카오게임즈는 한국거래소로부터 코스닥 상장을 위한 예비심사를 승인받았다고 23일 밝혔다. 카카오게임즈 ��

www.econovill.com

For foreigners

Kakao Games, shall we check it out?

Established as an engine on August 22, 2013, and merged with Daum Game on April 1, 2016. On July 1, 2016, the company name was changed to the current Kakao Games.

We use mobile messenger'Kakao Talk' and portal'Daum' services to conduct mobile game and PC game publishing and channeling business. In addition, we recently established and acquired a professional development subsidiary to develop from casual to hardcore genre. The situation is being expanded.

 

Kakao Games, let's take a closer look at what we are doing.

First, the main publishing titles of domestic PC games are'Battle Ground', a battle royale genre, and'Pass of Exile', an action RPG genre. Overseas PC games are providing MMORPG'Black Desert' to North America and Europe, and they are continuing positive results, such as inflow of new users through accumulated operational know-how and content update synergy for 4 years. And as a self-developed PC game, MMORPG'Aki Age' with rich contents based on fantasy world view is provided in North America, Japan, China, and Russia.
Currently, in the second half of this year, MMORPG'Elion', which is being developed by Krafton, is preparing for final release for the year, and is strengthening its position as a large publisher by planning to continue global services in North America and Europe.

Lastly, mobile game publishing provides various genre titles, including casual games that incorporate social features of KakaoTalk.

 

Let's take a look at the Kakao Games, the growth potential and the possibility of listing.

Kakao Games is a competent game company with experience in publishing various genres from casual games to MMORPGs in overseas markets, so it is possible to publish and publish global titles in various domestic genres, including Crafton's new MMORPG, and quality titles developed in overseas markets. It is said to be scheduled.

In addition, by investing in core developers such as Second Dive and Ocean Drive Studio, promising domestic developers, as well as acquiring X-L Games, which has a competitive IP with developers with many years of experience, strengthens self-development capabilities and secures development power in various genres. It is said to be one.

In addition, it is a situation that provides marketing convenience using Daum's front page and KakaoTalk messenger and users' access to games.

Lastly, Kakao Friends IP was given the right to exclusively use'Kakao Friends IP' in the game business by its parent company, Kakao, and it can be seen that it is preoccupying a competitive advantage by using it directly as a production, service, and sole publisher.
In addition, it is said that it is scheduled for VR business.

Kakao Games, we should keep an eye on it until KOSDAQ is listed.

반응형
Posted by Ernest JK
,
반응형

에이프로, 어떤 회사인가요?

에이프로는 2차 전지 성장세의 직접적인 수혜를 보고 있는 기업인데요, 2차전지용 배터리 제조 장비를 세계에 공급하는 업체입니다.

 

2000년 6월 27일 설립하여 전력변환장치(SMPS) 및 인버터 기술을 바탕으로리튬이온 2차전지 생산공정 중 후공정 관련 장비인 활성화(Formation), 테스트장비(Cycler)장비를 주력으로 제품 개발 및 생산을 실시하고 있으며,
주요 고객은 LG화학 등 리튬이온 2차전지 제조업체들이며 에이프로의 설비를 통해 최종적으로 전기차, 휴대폰 등의 배터리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전력 변환과 제어 기술을 기반으로 전기자동차, e-Mobility 등 배터리 적용분야에 필요한 통합 솔루션을 제공하는 공급자이며, 전력변환의 High-tech 기술, User-Friendly 설계, 생산 Know-how, 사후 관리를 통합 시스템으로 관리하는 기업입니다.

 

글로벌 배터리 산업, 좀 더 자세히 알아볼까요?

글로벌 배터리 시장은 전기차 시장이 크게 성장함에 따라 동반 성장하는 추세인데요, 기존 전기차는 환경문제와 중국의 강력한 지원으로 성장한 이래 전지 가격이 낮아지고 주행거리가 늘어나면서 내연기관자동차와 경쟁이 가능한 단계로 접어드는 시점이 올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특히, 2020년 발효 예정인 파리기후협약에 따라 각국의 CO2 배출에 대한 강력한 규제도 고성장의 안전판으로 작용하면서 이러한 성장추세는 지속적으로 증가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글로벌 배터리 시장 규모는 IT 등 소형전지를 포함한 기준으로 2018년 220억 달러에서 2025년 1,200억 달러로 5배 이상 확대될 전망입니다. 특히, 중대형 전지인 전기차용과 ESS를 중심으로 매년 급성장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리튬과 코발트는 단기 가격 급등과 원료 부족을 겪고 있으며, 니켈, 망간, 흑연 등 원료시장 또한 규모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글로벌 배터리 시장은 전기차 및 ESS와 동반 성장하는 특성을 보입니다.

대형 전지의 ESS 에너지저장시스템은 신재생에너지나 기존 에너지를 대용량으로 저장하는 전지 장치로서, 최근 선진국을 중심으로 에너지 효율을 개선시키기 위해 ESS를 적극 지원하고 있습니다. 동시에 2020년까지 유럽과 미국의 연비 규제 강화로 인해 전기차 시장은 꾸준히 성장할 전망이기 때문에 전기차 분야는 2차전지 산업의 가장 강력한 수요처로서 안정적인 성장의 발판을 마련할 것입니다.

 

에이프로, 앞으로 어떤 사업이 진행될까요?

현재 리튬이온 2차전지 활성화 장비 사업 이외, 에이프로는 현재 차세대 GaN 전력반도체 개발 및 사업화를 추진하고자 연구개발 중에 있습니다.

차세대 전력반도체라 불리우는 GaN 전력반도체는 고유의 재료적 우수한 특성으로 인하여 낮은 Ron 저항과 높은 동작 주파수 및 높은 항복전압의 동작이 가능합니다. 이러한 특성은 스위칭 소자의 동작 시 발생되는 전력손실을 줄여주며 전력반도체 디스크리트(discrete) 소자의 크기를 줄여주는 핵심 성능 지수입니다.
차세대 GaN 전력반도체가 2차전지 충방전기의 스위칭 전원모듈에 적용될 경우, 스위칭 주파수가 높아져서 설계가 단순해지고 전력전자 부품의 크기도 소형화되기 때문에 시스템 비용을 낮추는 효과가 발생합니다.

따라서, 앞으로 충전용 배터리 제조의 고질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서 차별화된 2차전지 활성화 장비의 경쟁력을 갖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에이프로, 상장 후의 주가를 알아볼까요?

 

상장하자마자, 상한가를 기록한 에이프로인데요,
앞으로 2차 전지 시장의 성장에 따라 함께 주가가 움직일지 지켜봐야겠습니다.

 

관련기사

http://www.gg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783559

 

[특징주] 에이프로, 상장 첫 날 상한가 갈까? - 금강일보

[주식] 에이프로 신규상장 SK바이오팜처럼 상한가 올라갈 수 있을까 귀추 주목 에이프로가 16일 신규상장한다고 전해 주목받고 있으며 오늘 16일 투자자들이 몰릴 것으로 예상된다....

www.ggilbo.com

 

For foreigner

Apro, what is it like?
Apro is a company that is directly benefiting from the growth of secondary batteries, and is a company that supplies battery manufacturing equipment for secondary batteries to the world.

Established on June 27, 2000, based on power conversion device (SMPS) and inverter technology, product development and development are mainly focused on post-process equipment (Formation) and test equipment (Cycler) equipment during the production process of lithium ion secondary batteries. Production,
The main customers ar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manufacturers such as LG Chem, and finally produce batteries for electric vehicles and mobile phones through Apro's facilities.

Based on power conversion and control technology, it is a provider that provides integrated solutions for battery applications such as electric vehicles and e-mobility. It integrates high-tech technology of power conversion, user-friendly design, production know-how, and post-management. It is a company managed by the system.

 

Global Battery Industry, Let's Learn More
The global battery market tends to grow along with the growth of the electric vehicle market. Since the existing electric vehicle has grown due to environmental problems and strong support from China, the battery price has decreased and the mileage has increased to enter the stage where it can compete with internal combustion engine vehicles. The time is expected to come. In particular, in accordance with the Paris Climate Agreement, which is expected to enter into force in 2020, strong regulation of CO2 emissions in each country also serves as a safeguard for high growth, and this growth trend is expected to continue to increase.

The size of the global battery market is expected to increase more than 5 times from $22 billion in 2018 to $120 billion in 2025 on the basis of small batteries such as IT. In particular, it is expected to grow rapidly every year centering on electric vehicles and ESS, which are mid-to-large-sized batteries. As a result, lithium and cobalt are experiencing short-term price spikes and lack of raw materials, and the market for raw materials such as nickel, manganese, and graphite is also expanding. The global battery market is growing along with electric vehicles and ESS.

The ESS energy storage system for large batteries is a battery device that stores new and renewable energy or existing energy in a large capacity. Recently, ESS has been actively supported to improve energy efficiency, especially in developed countries. At the same time, the electric vehicle market is expected to grow steadily due to the strengthening of fuel economy regulations in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by 2020, so the electric vehicle sector will provide the foundation for stable growth as the strongest demand for the secondary battery industry.

 

Apro, what kind of business will proceed in the future?
In addition to th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ctivation equipment business, Apro is currently conducting research and development to promote the development and commercialization of next-generation GaN power semiconductors.

GaN power semiconductors, which are called next-generation power semiconductors, can operate with low Ron resistance, high operating frequency, and high breakdown voltage due to their unique material properties. This characteristic is a key performance index that reduces the power loss generated during operation of the switching device and reduces the size of the power semiconductor discrete device.
When a next-generation GaN power semiconductor is applied to a switching power supply module of a secondary battery charging/discharging device, the switching frequency is increased, thus simplifying the design and miniaturizing the size of the power electronic component, thereby reducing the system cost.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we will be able to solve the chronic problem of manufacturing rechargeable batteries and thus have the competitiveness of differentiated secondary battery activation equipment.

 

Apro, shall we look at the stock price after listing?

As soon as it's listed, it's an apro that records the upper limit.
We need to see if the stock price will move along with the growth of the secondary battery market in the future.

반응형
Posted by Ernest JK
,
반응형

신도기연, 무슨 회사인지 알아볼까요?

1989년 8월 박웅기 대표이사는 당시 국내 디스플레이 장비업계가 해외 업체 대비 경쟁력이 월등히 열세인 상황에서 해외, 특히 일본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던 디스플레이 장비(FPD, Flat Panel Display)의 국산화를 선도하겠다는 신념을 가지고 ㈜신도기연의 모태인 신도기연을 창업(2000년 8월 법인 전환)하였으며, 디스플레이 공정 기술을 독자적으로 연구, 개발하며 사업 기회를 모색해왔습니다.


1990년대말 개발한 탱크 방식 탈포기 등 LCD 공정 장비를 삼성전자에 납품하면서 본격적으로 디스플레이 장비 산업에 참여하게 되었으며, 매엽식 탈포기(STA)의 개발 및 수출을 통한 해외진출로 사업 기반을 마련하였습니다.
그리고 2004년 탈포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혁신적으로 줄여줄 수 있는 (30분~1시간 → 1분~5분) In-Line형 탈포기를 세계 최초로 개발하여 국내외에 판매함으로써 기술력을 인정받았고, 2008년 진공 합착기(Vacuum Laminator)의 개발로 평면 LCD 디스플레이, 곡면(3D) OLED 디스플레이 등 점점 다양해지는 고객사의 니즈에 부응하며 성장을 거듭해 왔습니다.
또한, 2010년대 중반 Flexible OLED 시장이 태동하는 시기에, 당사는 디스플레이 패널 가장자리에 굴곡이 있는 '엣지형' 디스플레이 패널 합착을 위한 곡면 진공 합착기(3D Vacuum Laminator)를 2015년에 세계 최초로 개발하여 현재까지 당사의 주력 제품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향후에도 디스플레이 시장은 Flexible 형태에서 더욱 나아가 Foldable, Bendable 등 보다 다양한 형태로 변화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적용 어플리케이션 또한 모바일 부문 이외에 차량, TV 등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국내 1세대 디스플레이 장비 업체로서, 지난 30년간 디스플레이 업계를 선도적으로 이끌었던 경험 및 노하우를 바탕으로 급변하는 시장 환경 및 고객사의 요구에 긴밀하게 대응해 나갈 계획입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비 사업 뿐만 아니라 수소 연료전지 장비 및 진공 유리 장비 등 신사업 부문을 보다 확대하여 매출원 다각화 및 지속 가능한 성장 모델을 구축해 나갈 예정입니다.

 

신도기연, 어떤 경쟁력을 갖고 있을까요?

디스플레이 시장의 빠른 변화로 인해 LCD 보다 OLED에 대한 고객의 수요가 많아지고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업체 및 시장의 수요는 Rigid OLED 보다는 Flexible OLED를 이용한 곡면(Curved, 3D) 디스플레이를 더 선호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이에 따라 기존의 시장과는 달리 곡면 디스플레이 관련 장비 양산 경험과 노하우를 가장 중요시 여기고 있습니다.

신도기연은 2013년부터 곡면 디스플레이 합착기 개발을 시작하여 2015년 삼성 갤럭시 6 엣지 모델부터 현재의 폴더블 디스플레이까지 계속적으로 곡면 합착기(3D Laminator) 양산 장비를 납품하여 왔습니다.

중국의 4대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사인 BOE, Tianma, Visionox, CSOT 모두에 당사의 곡면 합착기를 납품하는 등 당사의 제품 기술 경쟁력이 인정받고 있는 상황입니다.

당사의 핵심 기술력은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으며, 1) 모든 면적을 고르게 부착할 수 있는 다이아프램(Diaphram) 부착 방식과 2) 모든 곡면에 고르게 부착 압력을 전달할 수 있는 실리콘 패드(Silicon Jig) 기술이 있습니다.

먼저, 다이아프램(Diaphram, 탄성이 있는 얇은 형태의 간막이 판) 부착 방식은 당사의 고유 기술로서 합착시키고자 하는 제품의 모든 면적에 동일한 압력이 고르게 전달하게 할 수 있는 기술이며, 기포 및 크랙(Crack) 발생에 따른 불량을 방지하고 수율이 아주 높은 특징이 있습니다. 타사에서는 모터(Motor)와 실린더(Cylinder)의 힘으로만 부착함에 따라 모든 면적이 고르게 힘이 전달되지 않는 단점이 있는 반면에, 당사는 모터(Motor), 실린더(Cylinder), 다이아프램(Diaphram)을 모두 사용함에 따라 압력에 취약한 Flexible OLED 디스플레이 패널 합착에 매우 적합한 기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두 번째로 실리콘 패드(Silicon Jig) 기술입니다. Flexible OLED의 경우, 강한 압력으로 부착되면 패널 내부에 크랙(Crack)이 발생하고 낮은 압력으로 부착되면 기포(Bubble)가 발생하는 등 부착 압력에 따라 매우 민감하게 불량 요소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특히, 기존의 곡면 90도 이하 제품 보다 90도 이상이 넘어가는 제품은 더욱 더 압력에 민감하므로 기술력과 오랜 경험, 노하우가 매우 중요시되는 공정 기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점차적으로 곡면(3D) 디스플레이 시장의 고객 요구 사항이 증대되면서, 곡면의 곡률이 기존 최대 60도~80도에서 현재는 90도~160도의 고난이도 제품 양산이 준비 중인 상황입니다.

주요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사들은 당사의 기술력을 높이 평가하여 Flexible 디스플레이 제조와 관련하여 당사와 선행 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며, 당사는 향후 더욱 폭발적으로 고성장이 예상되는 Flexible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당사만이 보유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후발 주자들과의 기술 장벽을 구축하여 시장을 주도해 나갈 계획이라고 합니다.

 

신도기연, 중장기 전략을 알아볼까요?

향후 중장기적으로 수소 연료전지차 장비 시장 및 진공유리 장비 시장으로도 목표 시장을 확대할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기존 보유하고 있는 합착 및 탈포 핵심 기술을 바탕으로 수소 연료전지차의 핵심 부품인 수소 연료전지 막전극접합체(MEA) 및 진공유리 시장에서 신규 성장 동력원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신도기연, OLED와 수소 연료 전지 사업에서 과연 두각을 보일지 지켜봐야겠습니다.

 

신도기연

 

관련기사

http://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007060072&t=NN

 

특징주 신도기연 코스닥 상장 첫날 급락공모가는 상회

신도기연이 코스닥 상장 첫날 급락세다. 6일 오전 9시15분 현재 시초가(3만2천원) 대비 20.47%(6,5500원) 내린 2만5,450원에 거래 중이다. 이는 공모가(1만6천원) 대비해서는 9,450원 가량 높은 수준이다. �

www.wowtv.co.kr

 

 

For foreigners

Shindo Giyeon, shall we find out what company it is?

In August 1989, CEO Woong-Ki Park believed in leading the localization of display equipment (FPD, Flat Panel Display), which was entirely dependent on overseas, especially when the domestic display equipment industry was inferior to overseas companies. Founded Shindo Giyeon, the mother of Shindo Giyeon Co., Ltd. (incorporated in August 2000), has independently researched and developed display process technology and explored business opportunities.
By supplying LCD process equipment such as the tank-type defoaming machine developed in the late 1990s to Samsung Electronics, we participated in the display equipment industry in earnest, and laid the foundation for business by developing and exporting sheet-type defoaming (STA) overseas. .
And in 2004, it was recognized for its technological power by developing and selling the world's first in-line defoaming machine that can innovatively reduce the time required for the defoaming process (30 minutes to 1 hour → 1 minute to 5 minutes), 2008 With the development of Vacuum Laminator in year, we have continued to grow in response to the growing needs of our customers, including flat LCD displays and curved (3D) OLED displays.
In addition, in the period of the flexible OLED market in the mid-2010s, we developed the world's first 3D Vacuum Laminator for bonding'edge' display panels with curved edges at the edge of the display panel. Until now, it has become our flagship product.
In the future, the display market is expected to change from a flexible form to a more diverse form, such as foldable and bendable, and it is expected that application applications will also expand to vehicles and TVs in addition to the mobile sector. As a first-generation display equipment company in Korea, we plan to closely respond to rapidly changing market environments and customer needs based on our experience and know-how that have led the display industry for the past 30 years. In addition, we plan to expand our new business divisions, such as hydrogen fuel cell equipment and vacuum glass equipment, as well as display equipment business, to diversify sales sources and build sustainable growth models.

 

Shindo Giyeon, what competitiveness do you have?

Due to the rapid change of the display market, the demand for OLED is higher than that of LCD, and the demand of display panel manufacturers and markets is favoring curved (3D) displays using flexible OLED rather than rigid OLED. Therefore, unlike the existing market, we value the experience and know-how of mass-producing equipment related to curved displays.

Shindo Kiyeon started developing curved display coalescence machines in 2013 and has been supplying equipment for mass production of 3D laminators from Samsung Galaxy 6 edge models in 2015 to the present foldable display.

Our product technology competitiveness is recognized by supplying our curved coalescence machines to all four major display panel manufacturers in China, BOE, Tianma, Visionox, and CSOT.

Our core technology can be broadly classified into two types: 1) Diaphram attachment method that can be evenly attached to all areas, and 2) Silicone pad (Silicon Jig) that can deliver attachment pressure evenly to all curved surfaces. There is technology.

First, diaphram (elastic thin-formed diaphragm plate) attachment method is our unique technology that enables the same pressure to be evenly transmitted to all areas of the product to be bonded, and bubbles and cracks ) It prevents defects caused by occurrence and has a very high yield. In other companies,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power is not evenly transmitted over all areas as it is attached only by the power of the motor and cylinder, whereas our company has motors, cylinders, and diaphrams. It is a very suitable technology for cementing flexible OLED display panels that are vulnerable to pressure as all of them are used.

The second is silicon pad (Silicon Jig) technology. In the case of flexible OLED,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a defective element is generated very sensitively depending on the attachment pressure, such as cracking inside the panel when attached under strong pressure and bubbles when attached under low pressure. In particular, products that are more than 90 degrees higher than the existing curved products with a temperature of 90 degrees or more are more sensitive to pressure, so it can be said to be a process technology where technology, long experience and know-how are very important.

As the customer requirements of the curved (3D) display market are gradually increasing, the curvature of curved surfaces is currently being prepared for mass production of high-degree products ranging from 60 to 80 degrees up to 90 degrees to 160 degrees.

Major display panel manufacturers highly appreciate our technology and are conducting advanced development with us in connection with flexible display manufacturing, and we are developing lately based on our own technology in the flexible display market, which is expected to grow more explosively in the future. It is said that it plans to lead the market by establishing technological barriers with runners.

 

Do you want to learn Shindo Giyeon, mid-long term strategy?

We plan to expand the target market to the hydrogen fuel cell vehicle equipment market and vacuum glass equipment market in the mid to long term. Based on the existing core technologies of bonding and defoaming, it is said that it plans to provide a new growth engine in the hydrogen fuel cell membrane electrode assembly (MEA) and vacuum glass market, which are key components of hydrogen fuel cell vehicles.



Shindo Kiyeon and OLED and hydrogen fuel cell business will see whether they will stand out.

반응형
Posted by Ernest JK
,
반응형

흑사병(페스트) 이 무엇인지 알아볼까요?

흑사병(페스트)는 콜레라, 황열과 함께 세계보건기구에서 집중 주시하는 검역전염병이라고 하는데요, 흑사병(페스트)는 공기 전염, 접촉 전염, 또는 오염된 음식물을 통해 전염이 가능다고 합니다.
흑사병(페스트)의 증상은 감염자마다 최초 감염 부위 근처에 집중되는데, 이에 따라 림프절에 감염되는 선페스트, 혈관에 감염되는 패혈성 페스트, 허파에 감염되는 폐페스트 등으로 분류됩니다. 다행히 조기에 발견되면 치료가 가능한 편이구요.
흑사병(페스트)는 오늘날에도 세계 각지의 풍토병으로 위세를 떨치고 있습니다.

흑사병(페스트) 는 주로 어떻게 감염이 될까요?

주로 아래와 같이 접촉/전염에 의하여 감염된다고 하니, 조심해야겠습니다.

비말 접촉: 감염된 사람의 기침 또는 재채기
직접 접촉: 감염된 사람을 만지는 경우. 성관계를 포함함.
간접 접촉: 오염된 흙이나 오염된 표면을 만지는 경우.
공기 전염: 병원체 미생물이 공기 중에 오랫동안 살아남아 있는 경우.
경구 전염: 오염된 음식물 또는 물을 섭취한 경우
매개 전염: 매개체 곤충(벼룩 등)이나 다른 동물에 의해 옮은 경우.

이렇듯 흑사병(페스트)관련주를 주시해야 할 것 같습니다.

 

흑사병(페스트) 관련주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우정바이오
1989년에 설립된 신약연구 기업으로, 2017년에 코스닥시장에 상장함.
감염관리 전문기업으로 병원 및 연구시설에 감염관리 서비스를 제공중임. 동사의 감염관리 서비스는 ‘설계-시공-장비-유지-예방멸균’의 토탈 솔루션 형태임.
감염관리는 병원의 수술실, 무균실, 중환자실, 연구시설의 실험실, 제약 생산시설 등에 필요하며 메르스 사태 이후 사회적으로 감염관리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며 수요 증가 추세임.


 

 

신풍제약
1962년 6월 5일 의약품 제조를 주목적으로 설립하였으며 1990년 1월 20일에 한국증권거래소에 상장함.
주요 목적사업은 완제의약품 및 원료의약품 등의 제조 및 판매임.
제약업은 정밀화학공업과 생명공학 기술을 토대로 화학물질의 합성과정을 거쳐독특한 물질을 개발하는 산업이며, 화학공학기술, 미생물학, 약학 등 다양한 지식과 기술을 요구하는 지식 집약적 고부부가치 산업임.

 

 

고려제약
의약품제조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주요제품으로는 종합감기약인 하벤 캅셀, 소화기계용제인 란시드캅셀, 판도나정 등이 있음.
제약산업은 정밀화학산업의 일종으로기술 집약도가 높고 신제품 개발 여부에 따라 큰 부가가치를 창출할수 있는 미래 신성장 동력산업임.
Bluetooth형 인슐린 주입 펜 및 CGMS의 의료기기 사업과 병용하여 당뇨치료제 개발을 목표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나, 의료기기 개발 부진 및 지연으로 개발 포기함.



 

이글벳
1970년 10월 5일에 개인기업인 이글케미칼공업사를 설립하였으며, 1983년 12월 6일에 주식회사 이글케미칼 법인으로 전환하였음.
영위하는 사업은 동물약품제조, 판매 등이며 그 외 부동산 임대업과 통신판매업 및 전자상거래 등의 사업을 함께 영위하고 있음.
호주와 동남아 일대에 수출을 시작하여 현재는 아프리카에 이르기까지 해외시장 개척에 총력을 다하고 있으며, 수출 비중이 꾸준히 상승하고 있음.

 

관련기사

https://www.news1.kr/articles/?3986664

 

中 내몽고서 페스트 의심 사례 발견…중국 '발칵'(종합)

사실 앞에 겸손한 민영 종합 뉴스통신사 뉴스1

www.news1.kr

 

For foreigners

Shall we find out what the Black Death (Fest) is?

The Black Death (Fest) is a quarantine epidemic that is closely watched by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along with cholera and yellow fever, and the Black Death (Fest) is said to be transmitted through air, contact, or contaminated food.
Symptoms of the Black Death (Fest) are concentrated in the vicinity of the initial infection site for each infected person, and are classified into a sunfest infected with lymph nodes, a septicfest infected with blood vessels, and a lungfest infected with lungs. Fortunately, treatment is possible if it is detected early.
The Black Death (Fest) continues to dominate the world today as an endemic disease.

 

How is the Black Death (Fest) mainly infected?

It is said that infection is mainly caused by contact/infection as shown below, so be careful.

Splash contact: coughing or sneezing in an infected person
Direct contact: When touching an infected person. Includes sex.
Indirect contact: When touching contaminated soil or contaminated surfaces.
Airborne transmission: When pathogen microorganisms have survived in the air for a long time.
Oral transmission: Contaminated food or water
Mediated transmission: When transmitted by a vectored insect (such as a flea) or other animal.

As such, it seems that we need to keep an eye on the Black Death (fest).

 

 

반응형
Posted by Ernest JK
,
반응형

원격의료, 어떤 방법으로 진행이 되는 것일까요?

 

원격의료는 환자가 온라인 플랫폼에 기재한 내용을 바탕으로 의료기관이 전화나 화상 등을 통해 상담·진료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입니다.
환자가 요청하면 의료진이 판단해 처방전을 발급할 수도 있구요, 현행 의료법에서 이 같은 원격의료는 의사·의료인 간 지식이나 기술 지원에 한해 허용되고 있기 때문에, 의사와 환자 간 진단·처방 등의 의료행위는 원칙적으로 금지되고 있으나, 이번 임시허가를 통해 언어나 접근성 등의 어려움으로 현지 의료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을 겪는 환자들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의료 수준이 낮은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에게 의료기관에 대한 접근성이 큰폭으로 개선될 수 있을 것입니다.

 

원격의료는 어느 기업에서 진행되는 것일까요?

 

산업융합 규제특례심의위원회심의위는 네오펙트 의 홈 재활 훈련기기 및 서비스에 대한 실증특례도 허용했는데요, 이에 따라 의사가 재활훈련과 관련해 최초 처방을 내리면 환자는 집에서 스마트 글러브와 보드 등 기기를 활용해 훈련을 진행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의사와 의료기사는 훈련을 감독하고 인공지능(
AI) 추천 등을 참고해 비대면 상담·조언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고, 다만 훈련 모니터링 결과에 대한 피드백은 내원 안내와 상담까지만 허용 예정이며, 진단과 처방은 할 수 없습니다. 또한, AI 분석 결과는 참고자료로만 활용하는 등 일정 조건을 지켜야 하는 조건이 있다고 합니다.

 

원격의료, 코로나 시대에 차세대 산업으로 발전할 수 있을 지 주목해봐야겠습니다.

 

 

네오펙트

2010년 설립된 동사는 AI 및 IoT 기술을 기반으로 뇌졸중 등의 신경계 및 근골격계 질환을 가진 환자들의 재활훈련을 위한 재활컨텐츠 및 재활의료기기 등을 연구개발, 생산, 판매함.
'라파엘 스마트 재활 솔루션'은 게임화 이론을 적용해 신경계, 근골격계 등의 환자들이 여러 동작의 재활훈련게임을 할 수 있도록 설계된 기기임.
AI 알고리즘 학습에 필요한 의료데이터를 자체적인 홈 재활 서비스를 통해서 수집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음.


 

관련기사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1&oid=022&aid=0003478666

 

For foreigners

Telemedicine, how does it work?


Telemedicine is a method in which a medical institution provides services such as counseling and medical treatment through telephone or video based on what the patient describes on the online platform.
If requested by a patient, the medical staff can judge and issue a prescription. In the current medical law, such telemedicine is allowed only for knowledge and technology support between doctors and medical personnel. In principle, it is prohibited, but this temporary permission is expected to help patients who have difficulties in using local medical services due to difficulties such as language or accessibility. In particular, access to medical institutions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for people living in areas with low medical standards.

Which company does telemedicine work for?


The Committee on Industrial Convergence Regulatory Special Deliberation Committee also allowed Neofect's demonstration of hom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s and services. Training is now possible.
Doctors and medical technicians supervise training and provide non-face-to-face counseling and counseling services with reference to artificial intelligence (AI) recommendations.However, feedback on the results of training monitoring will only be allowed until consultation and consultation. Unable to. In addition, it is said that there are certain conditions to be followed, such as using AI analysis results only as a reference.



It should be noted whether telemedicine can develop into the next generation industry in the corona era.

반응형
Posted by Ernest JK
,
반응형

SK바이오팜이 상장 일정을 한번 알아볼까요?

SK바이오팜은 지난 달 19일 금융위원회에 유가증권 상장을 위한 증권신고서를 제출하고, 기업공개(IPO)를 위한 절차를 추진 중인데요, 6월10일~18일 해외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수요예측이 진행되고 있으며, 6월17~18일 양일간 국내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진행해 6월19일 공모가를 확정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6월23일~24일 청약을 거쳐 신규 상장을 완료할 계획입니다.

SK바이오팜은 이번 상장을 위해 총 19,578,310주를 공모한다고 합니다. 이때, 공모예정가는 주당 36,000원~49,000원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보이며, 공모예정금액은 7,048억 원~9,593억 원입니다. 대표주관사는 NH투자증권과 씨티그룹글로벌마켓증권, 공동주관사는 한국투자증권과 모건스탠리가 맡은 상태입니다.

현재 기준, 전체 공모 물량의 60%인 1,175만주에 대해 진행된 이번 수요예측에는 국내외 총 1,076개 기관이 참여해 835.66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는데요. SK바이오팜의 일반투자자 공모주 청약은 오는 23일과 24일 양일간 진행 후, 7월 2일 유가증권시장(KOSPI)에 상장 예정입니다.

 

SK바이오팜은 어떤 기업인가요?

SK바이오팜은 지난 1993년, SK그룹의 차세대 성장동력 발굴을 위해 신약 연구 개발을 시작했습니다. 1996년 미국 FDA로부터 신약 후보 물질의 임상시험 승인을 받은 것을 시작으로 본격적으로 중추신경계 질환 치료를 위한 합성 신약 개발에 집중하여 ▲ 국내 제약사 가운데 최초로 뇌전증 신약 후보물질의 발굴부터 글로벌 임상 시험, FDA 신약 판매 허가를 획득하기까지의 전 과정을 독자적으로 진행(세노바메이트) ▲ 뇌전증 신약 후보물질의 유럽 상업화를 위한 5억 달러 규모 기술 수출 계약 성사(세노바메이트) ▲ 수면장애 분야 1위 기업에 기술수출 및 FDA와 EMA 승인 획득(솔리암페톨)이라는 연구실적을 이루어 냈습니다. 또한 최근에는 뇌질환 치료제 개발 과정 중에 축적된 연구 역량을 바탕으로 뇌종양 및 뇌 전이암 치료제 개발을 위한 연구를 시작하였습니다.

현재 SK바이오팜은 글로벌 종합제약사로서의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현재 한국과 미국, 중국에 법인을 두고 운영하고 있습니다. 경기도 판교 테크노밸리의 생명과학연구원에서는 혁신 신약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미국 뉴저지의 현지 법인 SK 라이프사이언스를 통해 직접 글로벌 임상개발과 마케팅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임상시험 및 허가, 상업화 진행 경험과 역량이 풍부한 전문가들로 미국 법인 인력을 구성하였습니다. 중국 상해의 현지 법인 SK바이오팜테크에서는 아시아 지역에서의 전략적 제휴 기회 확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SK바이오팜은 글로벌 시장을 타겟으로 혁신 신약 개발에 앞장서 왔으며, 앞으로 신약 상업화 등의 성과를 통해 신약 후보 물질 탐색부터 출시 이후 마케팅에 이르는 전 과정을 아우르는 글로벌 종합 제약사(FIPCO: Fully Integrated Pharma Company)로의 도약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청약 경쟁률을 예상해볼까요?

앞서 SK바이오팜은 지난 17~18일 기관 투자자를 대상으로 수요예측한 결과 835.7 대 1 경쟁률을 기록했는데요, 이는 2014년 11월 상장한 삼성SDS 수요예측 경쟁률인 651 대 1을 큰 차이로 뛰어넘은 셈입니다. 또한, 기관 투자자가 상장 이후 일정 기간 주식을 팔지 않겠다는 의무보유를 확약한 수량도 역대급입니다. 확약 비율만 81.15%에 이르는 상황입니다.

 

아마 일반 청약에서 역대급 경쟁률을 기록하지 않을까 조심스레 예측되는데요, 한번 지켜볼만 한 것 같습니다.

청약 결과는 아래 Reference를 확인해보시면 됩니다.

 

관련기사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1&oid=011&aid=0003758762

 

[시그널] SK바이오팜 5억 청약에 63주 배정···"그래도 이만한 투자처 없다"

[서울경제] SK바이오팜 일반청약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되면서 공모주 배정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5억원의 증거금을 납부해도 배정 물량이 63주에 불과할 것으로 관측되며 실망하는 목소리와 ��

news.naver.com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6/22/2020062202776.html

 

"대출 받아야죠" SK바이오팜 '청약 D-1' 개미도 '들썩'

"SK바이오팜 공모주 청약 때문에 마이너스 통장을 뚫을까도 고민입니다.""이번 달 월급 끌어모아서 SK바이오팜 공모주 청약에 넣을까 하는데 가능..

biz.chosun.com

 

For foreigners

Shall we check the listing schedule of SK Bio Farm?

SK Biofarm reported securities for the listing of securities to the Financial Services Commission on the 19th of last month, and promoted the process for public disclosure (IPO). In progress, it is planned to conduct domestic institutional investment and target competition on June 19th from June 17th to 18th. In addition, we plan to complete the public listing of new subscriptions from June 23 to 24.

It is said that SK Biofarm will open a total of 19,578,310 shares for this listing. At this time, the expected public offering price is expected to be from 36,000 won to 49,000 won per week, and the expected public offering amount is from 780 billion won to 959 billion won. NH Investment & Securities and Citigroup Global Market Securities are co-hosts, while Korea Investment & Securities and Morgan Stanley.

As of today, 1,175 million shares, which is 60% of the total number of public offerings, participated in a total of 1,076 institutions at home and abroad, recording a competition rate of 835.66 to 1. The subscription of SK Biofarm's general investors will be listed on the KOSPI on the 2nd of July after proceeding for 23 days and 24 days.

 

What is SK Biofarm?

SK Biofarm began researching and developing new drugs in 1993 to discover the next generation growth engine of SK Group. Starting with the approval of clinical trials for new drug candidates from the US FDA in 1996, we have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synthetic new drugs for the treatment of central nervous system diseases.

The first among Korean pharmaceutical companies to discover candidates for new drugs for epilepsy, global clinical trials, and FDA new drugs. Independent progress of the entire process until obtaining a marketing authorization (Senobamate)

Signed a $500 million technology export contract for the commercialization of new drugs for epilepsy in Europe (Senobamate)

To the No. 1 company in the field of sleep disorders We have achieved research results such as technology export and obtaining FDA and EMA approval (soliamphetol). In addition, recently, based on the research capabilities accumulated during the development of treatments for brain diseases, we began research to develop treatments for brain tumors and brain metastases.

Currently, SK Biofarm operates corporations in Korea, the United States, and China to be competitive as a global global pharmaceutical company. The Institute of Life Science of Pangyo Techno Valley, Gyeonggi-do, is conducting basic research to develop innovative new drugs, and conducting global clinical development and marketing directly through SK Life Science, a local corporation in New Jersey, USA. To this end, a US corporation is composed of experts with abundant experience and competency in clinical trials, permits, and commercialization. SK Biofarm Tech, a local corporation in Shanghai, China, is striving to secure strategic partnership opportunities in the Asian region.

SK Biofarm has taken the lead in developing innovative new drugs targeting the global market, and is leaping to become a global integrated pharmaceutical company (FIPCO), which encompasses the entire process from searching for new drug candidates to marketing after launch through commercialization of new drugs. Aim.

Shall we predict the competition rate of subscription?

Earlier, SK Biofarm recorded a 835.7 to 1 competition rate as a result of demand forecasts for institutional investors on the 17th to 18th, which surpassed the Samsung SDS demand forecast competition rate of 651 to 1, which was listed in November 2014, with a huge difference. . In addition, the quantity that the institutional investor has promised not to sell the stock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fter listing is also in the past. Only the commitment rate reached 81.15%.



Perhaps it is carefully predicted that the regular subscription rate will be recorded in the past, but it is worth watching.

반응형
Posted by Ernest JK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