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2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은 전년 동월 대비 6%로 나타났습니다. 2021년 9월 이후 가장 낮은 상승폭을 기록했다. 작년 6월 9.1%로 정점을 찍은 CPI 상승률이 6%까지 둔화한 것입니다. 직전 달인 1월 상승폭(6.4%)을 밑돈 것은 물론, 다우존스·월스트리트저널(WSJ) 등이 취합한 전문가 예상치 6.0~6.1%에 부합하거나 소폭 하회했습니다. 전월 대비 CPI 역시 0.4% 올라 1월 상승폭(0.5%)보다 둔화했습니다. 이 또한 예상치(0.4%)에 부합하는 수준이라 볼 수 있습니다.
이번 3월 미 연준 회의에서는 인플레이션과 고용, 경제 성장률, 코로나19 대유행의 영향 등 다양한 요인을 고려한 후 통화 정책을 결정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에 따라, 베이비스텝(Baby Step) 즉, 기존의 금리 인상 추세를 더 늦추거나, 금리 인상의 규모를 줄이는 등 적극적인 통화 완화 정책을 시행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번 회의에서 미 연준이 취할 정책은 매우 민감하고 중요한 결정이기 때문에, 정확한 결과를 예측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더불어, 코로나19의 여파와 미국 경제의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이 여전히 높기 때문에, 이러한 결정에 대한 예측은 모두 예측의 범위 내에서 이루어져야 합니다.
현재 Fed는 SVB 사태 이후 금융시스템 위기 우려가 급속히 번지면서 인플레이션 안정과 금융시스템 보호라는 두 가지 과제를 받아든 상태입니다. SVB의 파산과 미국의 통화정책인 금리 인상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파산은 일반적으로 개별 기업의 문제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파산 사례가 미국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경우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대규모 기업 파산이 산업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또한, 파산으로 인한 경제적 충격은 해당 지역의 부동산 가격 하락, 신용카드 및 대출 채권 부실 등과 같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그러나, SVB의 경우, OneUnited Bank와 관련된 문제로 발생한 파산이기 때문에, 전체적인 미국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칠 가능성은 낮습니다. 따라서, SVB 파산이 미국의 통화정책인 금리 인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은 적다고 볼 수 있습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77/0005230778?sid=101
예상 부합한 美소비자물가 6.0%...Fed '베이비스텝' 관측 커져(종합)
지난달 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이 예상대로 소폭 둔화했다. 최근 실리콘밸리은행(SVB) 은행의 파산 이후 급격히 대두한 연방준비제도(Fed)의 긴축 완화 기대감도 지속되는 모습이다. 다
n.news.naver.com
The US Consumer Price Index (CPI) for February showed a 6% increase from the same period last year, recording the lowest increase since September 2021. This is a significant slowdown from the peak of CPI inflation at 9.1% in June of last year. The 6% increase also matched or slightly fell below expert expectations of 6.0-6.1%, as compiled by Dow Jones and the Wall Street Journal (WSJ). Month-on-month, CPI rose by 0.4%, which is also in line with expectations.
The upcoming March Federal Reserve meeting is expected to consider various factors such as inflation, employment, economic growth, and the impact of the COVID-19 pandemic before deciding on monetary policy. As a result, there is a possibility of implementing an active monetary easing policy, such as delaying the existing trend of interest rate hikes or reducing the scale of interest rate increases.
However, predicting the exact outcome of the Fed's policy decisions in this meeting is difficult as it is a highly sensitive and important decision. Moreover, due to the uncertainty surrounding the aftermath of COVID-19 and the future of the US economy, all predictions about such decisions must be made within a certain range of uncertainty.
Currently, the Fed is in a state of balancing inflation stability and protecting the financial system as concerns about a financial system crisis spread rapidly after the SVB incident. The bankruptcy of SVB is not directly related to the US monetary policy of interest rate hikes because bankruptcy is typically an individual company's problem. However, bankruptcy cases can also have negative effects on the US economy. For example, the bankruptcy of large companies can have negative effects on the industry as a whole. Moreover, economic shocks caused by bankruptcy can have negative effects such as declining real estate prices in the affected region and credit card and loan bond defaults.
However, in the case of SVB, since the bankruptcy was caused by issues related to OneUnited Bank, the possibility of having a significant impact on the overall US economy is low.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likelihood of SVB bankruptcy directly affecting the US monetary policy of interest rate hikes is also low.
'Pick! Topic > 경제 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3/17, EBC 금리인상과 CS, 유로존 인플레이션의 향방 (0) | 2023.03.17 |
---|---|
23/3/16, CS 유동성위기와 비트코인 상승 기류 포착 (0) | 2023.03.16 |
23/3/14, 비트코인 시세와 SVB 와의 연관성, 연준의 금리인상 전망 (1) | 2023.03.14 |
23/3/13, 미국 SVB 파산에 대한 시사점 (0) | 2023.03.13 |
23/3/10, 우량 회사채 중심의 채권시장 호조 (0) | 2023.03.10 |